항목 ID | GC04213082 |
---|---|
한자 | 德島山 |
영어의미역 | Dukdosan Mountain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1743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반용부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에 위치한 산.
[명칭 유래]
덕도산(德島山)은 덕도(德島)에 있는 산이라는 뜻이다. 덕도의 덕(德)은 높은 땅이나 언덕이라는 의미로, 넓고 평탄한 곳에 높게 솟아난 섬이라는 뜻에서 붙은 이름이다.
[자연환경]
덕도산은 서낙동강과 평강천 사이에 형성된 대사 평야 북서쪽에 위치한 기반암 산지로 과거 바다에 솟아 있던 섬이었다. 현재 덕도산이 있는 대사도[여러 작은 하중도들이 결합되어 형성된 큰 섬]는 후빙기 해수면의 상승으로 하천이 운반해 온 토사가 퇴적되어 형성된 하중도이다. 덕도산의 동쪽에는 평강천이, 서쪽에는 서낙동강이 흐른다. 덕도산의 서쪽 서낙동강 건너 오봉산[죽도산], 동쪽 평강천 건너의 칠점산과 함께 삼각주의 대표적인 산지이다.
[현황]
해발 고도 약 38.3m의 덕도산 북쪽 산사면에 있는 북정리(北亭里)에는 고대 선사 문화 유적인 신석기 시대 패총[shell mound]이, 인근 상덕리(上德里)에는 원삼국 시대의 유적인 패총이 있어 거주지로서의 유구한 역사를 짐작하게 한다. 이에 산의 정상부 평탄면에는 많은 묘지가 산재한다. 덕도산 인근의 퇴적 평야는 비옥한 농경지로 이용되어 과수·채소·화훼 등의 밭농사와 논농사가 이루어져 왔으나, 강서 지역의 개발로 최근 토지 이용이 급변하고 있다. 도로가 확장되면서 공장이나 상업 용지로 바뀌고 주택이 증가하고 있다. 덕도산의 동측에는 관음사, 서측에는 보현암이 자리 잡고 있으며, 북단부에 가나안복지교회, 덕도산 남단에 덕도초등학교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