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074
한자 國守峰
영어의미역 Guksubong Peak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반용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높이 258m
전구간 국수봉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지도보기
해당 지역 소재지 국수봉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 외양포 마을 동쪽 산지 사면에 있는 산.

[명칭 유래]

나라가 위급할 때 남해를 침범하는 외적을 감시하여 국가를 보위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는 산이라 하여 국수봉(國守峰)이라 불렀다.

[자연 환경]

국수봉의 남쪽 해안은 크고 작은 도서들이 산재해 있다. 국수봉에서 500m가량 떨어진 동쪽 해안은 암석으로 이루어진 급경사의 절벽[해식애]으로, 좁고 깊은 수직의 파식곡[파도가 깎은 골짜기]과 해식 동굴이 톱날처럼 복잡하게 들락거리고 있다[리아스식 해안]. 이 해안으로 늘 파도가 밀려와 해안에 침식이 진행되어 해식애·해식동[해안 동굴] 등의 해안 침식 지형이 발달하였다.

국수봉 정상 부근에는 길이 250m, 너비 약 65m에 이르는 단구면이 형성되어 있다. 정상 부근은 수목이 우거져 있지만, 고도 10~20m는 파랑의 영향으로 기반암이 노출되어 수목이 자라지 못한다. 국수봉의 정상에서 북동쪽와 남서서쪽의 양쪽 방향으로 높이 252m의 둥근 산봉우리가 발달해 있어, 3개의 봉우리가 한자의 산(山) 자와 같은 모양을 이룬다.

[현황]

해발 고도는 258m이며, 가덕도 남단 외양포의 동쪽에 있는 산으로 국수봉의 서쪽 해안에는 외양포 마을이 있고, 거가 대교를 통해 거제도와 연결된다. 또한 국수봉의 서쪽 바다는 어획 자원이 풍부하여, 전통 민속 어업으로 숭어 잡이가 이루어진다. 동쪽으로는 다대포가 있으며, 인근에서 양식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