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2998 |
---|---|
영어의미역 | Ttottattoga: A space of creation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40계단길 10[중앙동 3가 12-3]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도미자 |
[정의]
부산광역시 중앙동에 있는 미술인들의 작업 공간.
[개설]
부산 미술인들 중 선정된 일부 작가들에게 제공된 작업 공간으로, 개인 작업실로 시범 운영하는 프로젝트 공간이다. 또따또가는 관용, 배려, 문화적 다양성을 의미하는 프랑스어 ‘똘레랑스(Tolerance)‘에서 ‘또’를 가져오고 ‘따’로 활동하지만 ‘또’ 같이 활동한다는 의미와, 거리나 지역을 나타내는 한자 ‘가(街)’를 합성하여 우리말로 표현한 것이다.
또따또가에서 하는 사업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 장르를 중심으로 하지 않고 다양한 장르의 협업을 유도하는 도심형 창작 공간, 둘째, 시민들과의 소통을 전제로 한 다양한 문화 예술 교육 프로그램과 시민과 함께하는 문화 활동, 셋째, 임대료 지원 외 창작 및 커뮤니티 활동에 필요한 시설 운영을 위한 자생력 확보, 넷째 건물주와 민간 메세나[Mecenat, 문화예술·스포츠 등에 대한 원조 및 사회적·인도적 입장에서 공익사업 등에 지원하는 기업들의 지원 활동을 총칭하는 용어]와의 연대를 통해 장기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토대 마련, 다섯째, 지역 기관 및 문화 단체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유기적인 협력 시스템 조성, 여섯째, 원도심 문화 자원을 발굴 및 보존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활용하여 지역 문화 발전에 참여, 일곱째, 국내 및 국제 교류 활동을 통해 예술가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활동 영역을 확대하는 것 등이다.
[건립 경위]
또따또가는 원도심의 비어 있는 공간을 활용하고 또한 예술인들에게 작업 공간을 지원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이 사업은 원도심 창작 공간 또따또가 조성 운영 지원 사업에 의하여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3억 원을 지원받아 2010년에서 2012년 1차 사업이 진행되었고, 2013년에서 2015년 2차 사업이 진행 중이다. 협약에 의한 민간 위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사업 주체는 부산광역시, 사업 주관은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이다.
[구성]
또따또가는 중구 중앙동과 동광동의 40계단 중심으로 반경 500m 안에 작업실이 분포되어 있다. 문학, 미술, 음악 등 각 분야 지역 예술인 수백 명이 입주하여 활동하는 창작 공간을 비롯하여 다양한 문화 공간이 어우러져 구성되어 있다.
1차 사업의 구성은 총 2,951㎡에 21개소 43실 규모로, 협력 작가 22명을 포함하여 개별 예술가 58명, 컨소시엄을 포함한 예술 단체 25개 단체의 275명 등 총 330여 명이 입주해 있다. 분야별로 보면 미술 창작 공간 4개소 21실, 문학 집필실 1개소 6실, 독립 영화 갤러리 1개소, 디렉터 존 1개소, 소극장 1개소, 인문학 센터 1개소, 수공예 창작 공간 2개소, 전통 예술 아티스트 센터 1개소, 청년 인디 창작 공간 1개소, 또따또가 커뮤니티 갤러리 1개소, 코랄 센터 1개소, 무대 예술 트레이닝 센터 1개소, 문화 여행 정보 센터 1개소, 문화 예술 교육실 비타민C 1개소, 인디 밴드 트레이닝 센터 1개소, 운영 지원 센터 1개소, 아카이브 센터 1개소 등이다.
1차 사업의 성공으로 연장된 2차 사업 구성은 2,860㎡ 공간에 27개소 60실 규모로, 개인 50명, 단체 23개 단체에 261명 등 총 311명이 입주하였다. 분야별로 보면 미술 창작 공간 5개소 9실, 협업 공간 2개소 16실, 문학 창작 공간 1개소 3실, 공예 창작 공간 4개소 4실, 공연 창작 공간 3개소 8실, 커뮤니티 공간 4개소 9실, 디렉터 존 1개소 3실, 음악 창작 공간 1개소, 소극장 1개소, 인문학 센터 1개소, 문화 매개 공간 1개소, 또따또가 갤러리 1개소, 아카이브 센터 1개소 2실, 운영 지원 센터 1개소 등이다.
[현황]
주요 활동으로 첫째, 입주 공간별 고유 창작 활동 및 전시, 공연, 출판, 상영회 등 발표 활동, 둘째, 작가와 시민, 작가와 작가 사이의 커뮤니티 활동 및 협업 작업, 셋째, 시민 문화 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강좌 운영, 넷째, 예술 문화 축전, 거리 공연, 거리 마켓 등을 통한 일상의 문화 기획, 다섯째, 골목 프로젝트, 직장인 캠페인, 문화 소외 계층을 위한 문화 활동 등 생활 문화 기획, 여섯째, 창작 공간 네트워크, 왔다갔다 아트 페스티벌 등 국내외 예술 교류 등을 펼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