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김영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2871
한자 金永達
영어음역 Gim Yeongdal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오진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무속인
성별
출생 시기/일시 1922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76년 7~8월 - 국립민속박물관 지화 특별 전시회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77년 11월 13일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4호 「동래 지신밟기」예능 보유자로 지정
몰년 시기/일시 1984년 9월 27일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김영달 출생지 - 부산광역시 동래구
거주|이주지 김영달 거주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활동지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 부산광역시 동래구 우장춘로 195-46[온천동]지도보기

[정의]

현대 부산과 울산 지역에서 활동한 세습 무속인.

[활동 사항]

김영달(金永達)1922~1984]은 부산 동래에서 출생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승적을 가진 세습무로,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에 거주하면서 부산 일대에 단골판[단골판은 자연 마을 단위로 구획되어, ‘단골’ 한 사람이 5~10개 마을, 500호~1,000호의 집을 관할하여 자기의 ‘단골판’ 안에 사는 주민들이 요청하면 언제든지 굿을 해 주어야 할 의무가 있음]을 갖고 있었다.

김영달은 특히 지화(紙花) 제작에 뛰어났는데, 1976년 7~8월에 개최된 국립민속박물관 지화 특별 전시회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부산·울산을 중심으로 연행된 동래 오구굿의 경상남도 좌도 굿의 마지막 전승자로 알려져 있다. 1974년부터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에 가입하여 「동래 야류」의 봉사 역 등을 하였다. 1970년대까지 활동하다가 1984년 지병으로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1977년 11월 13일 부산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4호 「동래 지신밟기」의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