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2792
한자 大明女子高等學校
영어의미역 Daemyung girl's High Shool
이칭/별칭 대명여고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시실로 135[명장동 53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영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립 고등학교
설립자 대명학원
전화 051-526-3452
홈페이지 대명여자고등학교(http://daemyung.hs.kr)
인가 시기/일시 1985년 12월 31일 - 설립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86년 3월 6일연표보기 - 개교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12월 11일 - 학교 경영 우수 학교 교육부 장관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 학교 특색 사업 선도 학교에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 학력 신장 프로젝트 수행 학교로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 학력 신장 프로젝트 수행 학교로 선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7년~1989년 - 김희정 재학[국회 의원]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1년~1993년 - 김숙 재학[개그우먼]
최초 설립지 대명여자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시실로 135[명장동 533]지도보기
현 소재지 대명여자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시실로 135[명장동 533]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정직하고 거짓 없이 알차고 허(虛)하지 않으며 사리를 올바르게 판별할 줄 아는 참된 여학생상, 언어 행동이 방정하고 똑똑하며 예의 바르고 선악을 분명히 할 줄 아는 능력을 갖춘 숙녀상, 고운 말씨, 아름다운 맵시, 명랑하고 싹싹하며 시대에 적응할 줄 아는 진취적 여성상 정립’이다. 교훈은 ‘참되게[眞], 착하게[善], 아름답게[美]’이다.

[변천]

1985년 4월 29일에 학교 설립 계획 승인을 받아 그해 8월 6일에 대명학원의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같은 해 12월 31일에 대명여자고등학교로 설립 인가[학년당 10학급, 총 30학급]를 받았다. 1986년 3월 6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을 하였으며, 2001년 3월 2일에 제7대 송도영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 9일에 제24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1만 259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대명여자고등학교의 교육 활동은 다섯 부분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다양한 교육 과정으로, 그 내용은 전인적 성장을 위한 ‘창의적 체험 활동’ 효율적 운영[1학년], 영어·수학과 수준별 이동 수업[영어 교과실 4개, 수학 교과실 4개], 학부모 대상 열린 수업 주간 운영[연 2회]이다. 두 번째는 학력 신장을 위한 교육 활동이다. 그 내용은 최상위권 무학년 모둠실 S/G[Study Group] 운영, 우수 학생 및 희망 학생을 대상으로 한 정독실 운영, 방과 후 영어, 수학, 논술 심화 특강, 방학 중 교과 및 강사 선택형 보충 수업, 입학 사정관제를 대비한 심화 학습 동아리 운영, 매일 아침 영어 듣기, 대명 영어 인증제를 통한 외국어 교육의 활성화, 다양한 멘토링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교사-학생 멘토링, 또래 교사제, 본교 출신 대학생과 재학생 연계], 학습 플래너를 활용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이다.

세 번째는 독서 및 논술 교육 강화로, 그 내용은 독서 교육의 생활화를 위한 ‘독서 릴레이’ 및 우수 독후감 시상, 독서 토론 동아리 운영,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논술 지도]이다. 네 번째는 진로 및 진학 지도 강화로, 적성 검사와 진로 탐색 검사를 바탕으로 한 자기 진로 탐색, 1교사 1대학 전문가 상담 활동 및 자체 진학 자료집 제작, 입학 사정관제를 대비한 진학 포토폴리오 관리, 대입 정보 공유를 위한 학부모 연수 및 입시 설명회 개최, 목표 대학 및 명문 대학 투어를 실시하고 있다.

다섯 번째는 인성 교육과 봉사 체험을 통한 전인 육성이다. 그 내용은 1학생 1홀로 어르신 결연 봉사 활동 및 봉사 동아리 활동 활성화, 녹색 환경 교육 사업[환경 봉사부, 환경전, 낙동강 하구 생태 체험 활동], 매주 월요일 명상을 통한 마음 수양, S.S.D.T 운영[school mate, safe, dream, team의 약자로, 학교 폭력과 왕따 현상을 예방하고 학교생활에서 부적응 학생들이 교내 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학교 내 안전 지킴이 역할을 하는 조직]을 통해 학교 폭력과 왕따가 없는 학교 문화 조성, 기본 생활 습관 형성과 준법정신의 내면화를 통해 생활 태도 확립, 흥미와 적성을 계발하는 다양한 동아리 활동과 학예전 개최, 문화 행사를 통한 창의 인성 교육[청소년 음악회, 명사 졸업생 특강, 합격 기원 등 행사]이다.

1995년 12월 11일에 학교 경영 우수 학교 교육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2010년에는 교육과학기술부 지정 학교 특색 사업 선도 학교에 선정되었으며, 2011년과 2012년에는 부산광역시 지정 학력 신장 프로젝트 수행 학교로 선정된 바 있다. 졸업생들은 국회의원 김희정[1987~1989 재학], 개그우먼 김숙[1991~1993 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설창수/작곡 최인찬]

북으론 금정산성 둘러쳐 있고/ 저 멀리 물결 푸른 수영만 바다/ 그 옛날 나라 지킨 충렬의 얼을/ 고이 모신 명장골은 우리네 모교/ 참되게 닦으리라 대명의 딸들/ 매화꽃 향기로운 대명의 자랑/ 매화꽃 향기로운 대명의 자랑.

2. 교표: 사군자의 하나이며 아치고절의 속성을 지닌 매화로 구성한 타이슬링은 본래 다섯 장으로 갈래가 나뉜 것을 하나로 연결시켜, 협동 단결하고 서로를 내 몸처럼 사랑하는 대명인의 품성을 나타내었다. 작고 둥근 타이슬링은 우리에게 겨울을 이기고 봄을 맞이하는 자세를 함께 지니게 하는 큰 뜻을 지니고 있으며, 또 그 바탕이 흰 것은 순수와 청결, 순결을 나타내어 대명인의 청순함을 한층 돋우고 있다. 넓게 치우친 푸른 우주 곳곳에 대명인의 숨결을 느끼게 하자는 의미와, 하얀 매화 속에 싸여진 교포는 하늘을 닮아 그 속에서 마음껏 날갯짓을 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3. 교목: 매화나무이다. 현대의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 구조 속에서, 최소한 시대가 요구하고 추구하는 삶의 가치에서 개인의 가치 판단에 매화처럼 올곧은 정신을 추구함으로써 최소한의 시대적 소명에 기여한다는 의미이다.

4. 교화: 매화이다.

5. 교조: 까치이다. 아침마다 까치 우는 소리를 들으며 등교하는 학생들에게 항상 좋은 일만 있고, 또 그 좋은 일들을 사회에 환원하여 다른 모든 사람들에게 좋은 일들이 많이 있었으면 하는 바람을 담고 있다.

5. 캐릭터: ‘날아라 대명아’와 ‘대명인’이다. ‘날아라 대명아’는 대명인의 꿈과 희망을 향해 비상하는 모습을 담았으며, ‘대명인’은 친절하고 예쁜 대명인의 모습을 담고 있다. 머리 위의 꽃은 교화를 상징하며, 약간 다소곳한 모습은 겸손함과 친절함을 의미한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36학급에 1,146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12학급에 378명, 2학년은 12학급에 377명, 3학년은 12학급에 391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72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19명으로 총 93명이 근무하고 있다. 과학실, 음악실, 미술실, 컴퓨터실, 도서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 대명여자고등학교(http://daemyung.hs.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