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2791 |
---|---|
한자 | 釜山-高等學校 |
영어의미역 | Busan Digital High School |
이칭/별칭 | 부산디지털고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망양로 356[영주동 446-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창효 |
[정의]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자신의 꿈을 실현하기 위한 도덕적이고 창의적인 능력인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책임지는 사회인, 능력 있는 기술인, 신실한 도덕인’이다.
[변천]
1953년 9월 18일에 덕원고등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54년 11월 13일에 인가를 받았다. 1964년 12월 26일에 덕원상업고등학교로 학칙을 변경하여 상업 교육에 힘썼다. 1967년 2월 10일에 덕원공업고등학교로 학칙을 변경하고 상업과 3학급, 응용 화학과 2학급, 전기과 2학급, 기계과 2학급, 전자과 1학급을 증설하였다. 1981년에는 전기과 3학급, 전자과 6학급을 운영하다가, 1986년 12월에는 야간 6학급을 증설하여 주야간 총 48학급을 운영하였다. 2000년 8월 30일에 부산디지털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2001년 신입생부터 남녀 공학으로 변경되었으며 야간을 폐지하였다. 2017년 9월 19일 2019학년도 전자부사관과 2학급 인가 후 2020학년에는 전자부사관과 3학급으로 인가받아 디지털전기과 2학급 전자부사관과 3학급 디지털전자과 2학급 총 7학급으로 운영하고 있다. 2019년 9월 1일에 제 15대 전성우 교장이 취임하였다. 2020년 2월 21일 제 62회 졸업식까지 총 2만 3097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디지털고등학교는 ‘선취업 후진학’을 위한 진로 지도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산업체 맞춤형 인재 양성을 위한 ‘디스플레이’ 특성화 동아리를 운영하고 있다.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 개선으로 학력 신장을 최우선으로 두고 있으며, 또한 배움과 돌봄의 실천으로 바른 인성을 함양시키고자 하고, 부적응 학생의 학교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학교 특색 사업으로 ‘위클래스[학생 공감 상담실]’를 운영하고 있다. 이는 학생들의 기쁨과 슬픔, 위기 학생들의 어려운 문제들을 함께 나누고 해결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역 고용 노동청과 협력을 통한 우수 중소기업 발굴 및 현장 체험 프로그램’과 ‘산학 협력 추진 사업 및 현장 실습의 내실화’, ‘글로벌 인재 양성 프로젝트’, ‘그린 마일리지 제도를 통한 인성 교육과 청결’, ‘푸른 꿈 교실’ 등을 운영하고 있다.
1974년 2월 6일에 일본 도바다공업고등학교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2001년에는 ‘학부모 지도 봉사단’으로 봉사 활동 연구 시범 학교를 운영하였고, 계속해서 학생들의 인성 교육을 위해 ‘학부모 지도 봉사단[학부모샤프론봉사단]’을 통한 봉사 활동 지도를 해 오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으로 2003년 12월 3일에 봉사 활동 우수 학교 행정자치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였다. 2005년 3월 21일에 SK 네트웍스 전국 학교 학생 인터넷 경연 대회에서 은상을 수상하였고, 그해 3월 24일에는 Be the CEO’s 대회에서 우수 학교로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2007년 6월 15일에는 ‘산업자원부·노동부 특성화 교육 사업[현 중소기업청 지정 특성화 고등학교 육성 사업]’에 선정되었다. 2009년 8월 31일에는 디스플레이 특성화 고등학교로 지정받아 한 학년에 디지털 전기과 2학급, 디지털 전자과 6학급을 편성하여 디스플레이 특성화 고등학교로서 교육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동아리 활동을 통한 산업체 맞춤형 인재 양성’이라는 목표 아래 네 개의 특성화된 동아리 활동을 지속적으로 해 오고 있다.
2011년 12월 06일 부산교육청 독서교육 우수학교로 지정되었다. 2016년 11월 10일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로 선정되어 지역사회에 있는 산업체들과 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선취업 후진학의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2018년 5월 31일에는 흡연예방사업 우수학교로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상 학생들의 흡연예방에 이바지하였다. 2020학년도 전자부사관과 3학급을 인가받아 부사관 양성에 힘쓰고 있다. 2020학년도 학생들이 “오고 싶은 학교” 만들기를 위하여 매주 금요일 동아리 활동 2시간을 통해 자신의 전공 분야 외에 관심 분야에도 활동할 수 있도록 동아리 활동을 활성화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박영호/작곡 이상근]
백두산 뻗어 내린 복병산 위에/ 배달의 정신으로 솟아났으니/ 이곳이 우리들의 배움의 전당/ 배워라 너도 나도 진리를 위해/ 푸른 남해 바라보며 기상도 크게/ 복되도다 부산디지털 길이길이 빛나리/ 복되도다 부산디지털 길이길이 빛나리.
2. 교목: 향나무이다. 사철 푸르름으로 강인한 의지와 예리한 기지를 표방하는 향나무처럼 올곧은 마음가짐으로 세상의 청량제 역할을 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3. 교화: 장미이다. 그윽한 향기와 우아한 빛깔을 지닌 장미처럼 모든 일에 정열적이고 성실하며, 고귀한 성품을 지닌 삶을 추구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현황]
2020년 현재 총 20학급에 333명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디지털전기과 2학급에 30명, 전자부사관과 3학급에 63명, 디지털전자과 2학급에 40명, 2학년은 디지털전기과 2학급에 24명, 전자부사관과 44명, 디지털전자과 3학급에 54명, 3학년은 디지털전기과 2학급에 26명, 디지털전자과에 52명이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43명, 그리고 행정실장 등 일반직 7명으로 총 52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총 1만 2077㎡로, 이 중 건물 부지 면적이 2,448㎡, 체력장 면적이 8,264㎡이다. 도서실, 음악실, 과학실, 무한상상실, 메이커스페이스, 전기기기실, 자동제어실, 부사관실, 국방체육실, 전자기기 소프트웨어 개발실(NCS), 응용프로그래밍실(NCS)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