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2350
한자 釜山市立交響樂團
영어공식명칭 Busan Philharmonic Orchestra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76번길 1[대연동 848-4]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손금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교향악단
설립자 오태균
전화 051-607-6044
설립 시기/일시 1962년연표보기 - 설립
이전 시기/일시 1974년 - 부산시 공보관에서 부산 시민 회관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88년 - 부산 시민 회관에서 부산 문화 회관으로 이전
최초 설립지 부산시립교향악단 -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부산시립교향악단 -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로 133번길 16[범일동 830-31]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시립교향악단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76번길 1[대연동 848-4]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시립 교향악단.

[설립 목적]

한국 제2 도시라는 위상에 알맞은 부산의 음악 문화 향상과 역량을 모으는 구심점의 일환으로 부산 지역 음악가들의 뜻을 한데 모아 설립되었다.

[변천]

부산시립교향악단(釜山市立交響樂團)은 1962년 설립되었으며 오태균을 초대 지휘자로 임명하였다. 설립 당시에는 2관 편성으로 시작하여 4관 편성으로 규모가 확대되었으나 1997년 외환 위기 때에 예산 절감의 이유로 다시 3관으로 축소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2012년 현재 10대에 걸친 역대 부산시립교향악단의 상임 지휘자들의 명단을 보면 초기에는 한국인 지휘자를, 후기에는 외국인 출신 지휘자들을 영입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1대 지휘자 오태균, 2대 지휘자 한병함, 3대 지휘자 이기홍, 4대 지휘자 박종혁, 5대 지휘자 마크 고렌슈타인, 6대 지휘자 블라디미르 킨, 7대 지휘자 반초 차브다르스키, 8대 지휘자 곽승, 9대 지휘자 알렉산더 아니시모프, 10대 지휘자 리 신차오].

주요 공간인 연습 장소는 창단 시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에 있었던 부산시 공보관에서 시작하여 1974년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830-31번지에 있는 부산 시민 회관으로 옮겼다. 1988년 다시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848-4번지에 있는 부산 문화 회관으로 옮겨 전용 연습장과 공연장을 확보하여 전문 오케스트라의 형식적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주요 공연은 매년 10여 회의 정기 연주회를 비롯하여 특별 연주회와 기획 공연이 있으며, 2007년 이후 시대와 지역 사회의 문화적 요구에 따른 프로그램과 활동 영역의 변화 모색으로 청소년 음악회, 시민과 가족을 위한 음악회, 부산 연주인 시리즈를 기획하였으며 찾아가는 음악회, 토요 상설 무대, 시민 클래식 등을 포함하여 연간 100회 이상의 공연 활동을 벌이고 있다.

특히 1997년 지휘자 곽승이 이끈 미국 순회 연주회는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워싱턴 D.C., 뉴욕 카네기 홀에서 개최되어 세계 무대를 향한 성공적인 도전으로 평가받아 부산시립교향악단의 위상을 높인 계기가 되었다. 부산시립교향악단이 가지는 지역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일환으로 추진된 해외 공연은 2000년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에서의 동남아시아 순회 공연과 2002년과 2012년 중국 순회 연주로 이어졌다. 또한 1991년부터 일본 후쿠오카[福岡]에서 열리는 ‘아시아 프렌들리 콘서트’의 참가는 아시아 지역에서 부산시립교향악단의 예술성을 인정받아 국제 문화 교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황]

2012년 현재 3관 오케스트라 편성의 규모로 수석 지휘자, 부지휘자, 악장을 비롯하여 95명의 오케스트라 단원과 9명의 스태프를 포함한 107명[정원 111명 중]으로 구성되어 있다. 3관 편성으로 중국 출신 지휘자 리 신차오가 상임 지휘자로 이끄는 부산을 대표하는 전문 오케스트라이다.

[의의와 평가]

서울시립교향악단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창단되었으며 부산광역시의 재정 지원으로 운영되는 시립 교향악단으로 부산 음악 문화의 중추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참고문헌]
  • 부산 문화 회관(http://culture.busan.go.kr)
  • 인터뷰(부산시립교향악단 사무국, 2012. 12. 3)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