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1139
한자 望後-
영어의미역 Manghu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망후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표용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 1910년 - 경상남도 동래군 사천면 서평리 지역이 부산부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동래군 사하면 신평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2년 - 경상남도 동래군 사하면 신평동에서 경상남도 부산부 사하출장소 신평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경상남도 부산시 사하출장소 신평동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서구 사하출장소 신평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5년 - 부산직할시 서구 사하출장소 신평동에서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신평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3년 -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신평동에서 부산직할시 사하구 신평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2년 9월연표보기 - 신평동이 신평 1·2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사하구 신평동에서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으로 개편
자연 마을 망후 마을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망후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망후 마을의 지명 유래는 두 가지가 전해 온다. 하나는 임경업(林慶業) 장군이 역적으로 몰려 9촌까지 몰살을 당하였을 때 임 장군의 조카인 절충장군(折衝將軍) 임중생이 의주에서 신평까지 피난을 와서 살게 되었는데, 누가 자기를 잡으러 올까 보아 뒤를 돌아보았다 하여 망후촌이 되었다고 한다. 다음으로 다대진(多大鎭)의 후망소(侯望所)가 신평에 설치되면서 망후촌이란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망후 마을은 마을 앞에 1세기경의 조개더미[패총]가 있어 오랜 거주 역사를 짐작하게 한다. 또한 마을의 지명 유래에서 임경업 장군 후손과의 관련성을 추측하기도 하고 다대진성과도 관련시켜 조선 시대에는 마을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형성 시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마을이 속한 지역은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 사하면 관내에 신평동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1910년 부산부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3월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동래군 사하면 신평동이 되었다. 1942년 10월 부산부 사하출장소 관할이 되었고, 1957년 구제 실시로 서구 직할 사하출장소가 설치되어 그 관할이 되었다. 1975년 10월 부산직할시 직할 사하출장소 관할이 되었으며, 1983년 12월 사하출장소가 사하구로 승격하였다. 1992년 9월 신평동신평 1동, 신평 2동으로 분동하였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망후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망후 마을은 동매산에서 두송 반도로 이어지는 서쪽 사면에 자리 잡고 있다. 마을 동쪽 동매산에는 임경업 장군의 호를 딴 것으로 추정되는 고석암(孤石岩)이 있고, 남동쪽으로 구평 고개가 있으며, 서쪽의 작은 구릉지에 조개더미가 있다. 주변에 더 많은 조개더미가 있었으나, 석회 공장이 패각층(貝殼層)을 매각하고, 이후 공장 부지로 조성되면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없다.

[현황]

망후 마을은 현재의 신촌초등학교에서부터 성일여자고등학교 일대까지 걸쳐 있던 자연 마을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주택지와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옛 마을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마을 서쪽은 신평 공단, 남서쪽은 사하구 장림동, 남동쪽은 구평동, 동북쪽은 괴정동과 접한다. 강동병원 등이 있고, 마을 서쪽으로 다대로가 지나고 남쪽에는 을숙도 대로가 지나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