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1108 |
---|---|
한자 | 鳴藏- |
영어의미역 | Myeongjang Village |
이칭/별칭 | 명장(鳴莊) 마을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 명장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정형 |
성격 | 자연 마을 |
---|---|
변천 시기/일시 | 1904년 - 경상남도 동래군 동상면 명장동 |
변천 시기/일시 | 1914년 4월 - 경상남도 동래군 동상면 명장동에서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명장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2년 10월 -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명장리에서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출장소 명장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9년 8월 -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출장소 명장리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출장소 명장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1월 -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출장소 명장동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명장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1월 -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명장동에서 부산직할시 동래구 명장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75년 - 안락 북 지구 구획 정리 사업이 시행되며 도시화가 시작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동래구 명장동에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으로 개편 |
자연 마을 | 명장 마을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 명장 마을 |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명장(鳴藏)[명장(鳴莊)] 마을의 명칭 유래는 분명하지 않으나 명편(鳴鞭)을 보관하던 곳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된다. 명편은 옛날 의장(儀仗) 때 흔들어 소리를 내서 사람들을 정숙하게 하는 기구로, 정편(靜鞭)이라고도 하였다. 조선 후기 동래 부사는 동래 독진(東萊獨鎭)의 최고 지휘관으로서 동래뿐만 아니라 양산·기장의 군사까지 지휘하면서 명편을 사용하였는데, 이를 보관하였던 곳이라고 한다.
[형성 및 변천]
명장 마을이 언제부터 형성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현재 전하는 동래 읍지류 중 가장 오래된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명장리(鳴莊里)는 동면에 속하며 관문에서 5리 거리에 있다.”는 기록이 있고, 『동래부읍지(東萊府邑誌)』[1832]에도 명장리(鳴藏里)를 확인할 수 있어 조선 시대부터 있었던 마을임을 짐작할 수 있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는 동상면 명장동으로 나온다.
1914년 4월 행정 구역 개편 때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명장리 명장 마을이 되었다. 1942년 10월 부산부 동래출장소 명장리, 1949년 8월 부산시 동래출장소 명장동, 1957년 1월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명장동에 속하였다. 1963년 1월 부산직할시 동래구 명장동 명장 마을이 되었다. 명장 마을은 1970년대 초반까지 미나리꽝과 논밭이 있던 농촌 마을이었으나, 1975년 안락 북 지구 구획 정리 사업이 시행되며 도시화가 시작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 명장 마을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명장 마을은 동쪽에 옥봉산이 있고, 나머지 방향은 평지가 펼쳐져 있었으며, 마을은 동쪽 산기슭에 위치하였다.
[현황]
명장 마을은 명장 1동 21통 일대로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명장 정수장 부근이다. 동쪽으로는 반송로와 부산 도시 철도 4호선이 통과하며, 남동쪽에 명장역이 있다. 남쪽으로는 명장로가 지나간다. 1975년 구획 정리 사업이 시작되어 1980년대부터 아파트 및 빌라가 늘어나면서 옛 흔적은 거의 찾을 수 없게 되었다. 동쪽 옥봉산 기슭에 금정고등학교와 명동초등학교가 있고, 산중턱에는 옥봉산 당산이 있어 매년 음력 정월 2일 자정에 제사를 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