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1064 |
---|---|
영어의미역 | Jajinnae Village |
이칭/별칭 | 좌진내 마을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 자진내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류종현 |
성격 | 자연 마을 |
---|---|
변천 시기/일시 | 1904년 - 경상남도 동래군 동평면 좌천동 |
변천 시기/일시 | 1914년 - 경상남도 동래군 동평면 좌천동에서 부산부 부산면 좌천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32년 - 부산부 부산면 좌천동에서 부산부 좌천정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6년 - 부산부 좌천동에서 부산시 좌천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1년 - 부산시 좌천동에서 부산시 초량출장소 좌천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 부산시 초량출장소 좌천동에서 부산시 동구 좌천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 부산시 동구 좌천동에서 부산직할시 동구 좌천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동구 좌천동에서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으로 개편 |
자연 마을 | 자진내 마을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 자진내 마을 |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자진내 마을 이름은 좌천의 ‘좌(佐)’와 부산진의 ‘진(鎭)’이 합쳐서 좌진이 되었다가 자진내로 변경된 것으로 추정된다.
[형성 및 변천]
자진내 마을의 형성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마을이 속한 지역은 임진왜란 때 왜군이 제일 먼저 상륙한 곳으로 전한다. 조선 후기에는 개운포로 불리며 왜관이 설치되어 있어 민가가 있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을이 속한 지역은 1904년(고종 41) 동래군 동평면 좌천동으로 나타난다. 마을 내에 부산에서 3·1 운동의 도화선이 되었던 부산진일신여학교(釜山鎭日新女學校)가 있었다.
이 지역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부산부 부산면에 속하였으며, 1932년에는 부산부 좌천정(佐川町)에 속하였다. 1946년 일본식 동명의 우리말 개칭으로 좌천동이 되었으며, 1951년 9월 1일 부산시 초량출장소가 설치되어 그 관할이 되었다. 1957년 1월 1일 구제 실시로 동구가 설치되었다.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으며,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가 동구 좌천동 자진내 마을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자진내 마을은 북서쪽으로 수정산이 자리하고, 북쪽으로는 증산이 솟아 있으며, 남서쪽으로는 해안과 접한다. 예전에는 마을에 좌천이 흐르며 해안으로 흘러들었다고 한다. 마을은 좌천변에 자리하고 있었다. 현재는 남서쪽 해안이 매립되어 하천도 해안도 옛 형태를 찾을 수가 없다.
[현황]
자진내 마을은 현재의 봉생병원 북서쪽에 자리했던 마을로 정공단(鄭公壇)[부산광역시 기념물 제10호로 부산진 첨사인 정발(鄭撥) 장군이 최후까지 항전하다가 순절한 곳으로 그 뜻을 기리기 위해 설치]이 자리하고, 인근에는 일신기독병원, 제일병원 등과 금융 기관이 밀집해 있다. 남서쪽으로 중앙 대로와 부산 도시 철도 1호선과 경부선 철도가 통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