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500
영어공식명칭 CGV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용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복합 상영관
전화 1544-1122
홈페이지 CGV(http://www.cgv.co.kr)
개관|개장 시기/일시 2000년 6월 3일연표보기 - CGV 서면 개관
최초 설립지 CGV 서면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892-20 지오 플레이스 6층지도보기
현 소재지 CGV 서면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892-20 지오 플레이스 6층지도보기
현 소재지 CGV 남포 -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6가 92-1지도보기
현 소재지 CGV 대한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199 대한 프라자 4층지도보기
현 소재지 CGV 센텀시티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1495 신세계 센텀시티 7층지도보기
현 소재지 CGV 아시아드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 1208 홈플러스지도보기
현 소재지 CGV 부산대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292-4지도보기
현 소재지 CGV 동래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허브카이
현 소재지 CGV 대연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73-15 스파크 5층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에 있는 대표적인 체인 멀티플렉스 영화관.

[개설]

CJ CGV는 대한민국에서 멀티플렉스 영화관을 운영하는 CJ그룹의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부문 계열사이다. 1996년에 대한민국의 CJ그룹과 홍콩의 영화사 골든 하베스트(Golden Harvest), 오스트레일리아의 빌리지 로드쇼(Village Roadshow)가 합작하여 설립한 회사로, 당시 참여한 3개 회사의 첫 알파벳을 따서 ‘CGV’라 명명하였으나, 지금은 골든 하베스트와 빌리지 로드쇼가 이탈하여 CJ그룹만이 독자 경영하고 있다. 두 회사가 손을 뗀 이후부터는 ‘Cultural Great Vital’의 약자로 사용하고 있다. 2012년 2월 기준, 국내에 85개의 영화관[사이트], 681개의 스크린, 약 11만석의 객석을 보유하고 있다. 자회사로 프리머스를 두고 있으며, 일부 프리머스 점포가 CJ CGV 점포로 전환되었다.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부산에는 8개의 영화관이 있다.

[건립 경위]

대형 멀티플렉스 영화관은 서면을 중심으로 설립되었는데, CGV도 마찬가지였다. 이는 영화관이 중구 남포동에서 서면으로 이동하면서 생긴 현상이었다. 2000년 6월 3일에 부산진구 전포동 892-20번지 지오 플레이스 6층 전관[1,650㎡ 규모]에 부산 최초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인 CGV 서면이 개관하였다.

[변천]

CJ CGV는 부산에서 8개의 영화관을 운영하고 있다. 먼저 2000년에 개관한 CGV 서면[6월 2일]은 12개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2001년 개관한 CGV 남포[11월 10일]는 영화의 메카 부산, 그 중에서도 중심지인 남포동에 위치한 유일한 CGV이다. CGV 남포는 이전의 국도 극장으로 유명했던 자리에 위치해 있다. 국도 극장의 본관이 있던 곳이 리모델링된 뒤, CGV 남포로 탈바꿈한 것이다. 2001년에 개관한 CGV 대한[12월 16일]은 부산 극장이 인수하여 운영하다가 2000년에 4개관의 멀티플렉스로 재개관하였는데, 이후 CJ CGV에서 인수하여 CGV 대한으로 새롭게 5개관으로 운영하고 있다.

본래 있던 상영관을 뜯어 고친 터라 다른 멀티플렉스 상영관에 비해 좁은 느낌은 있지만, 롯데 시네마를 제외하면 서면역에서 가장 가까운 극장이라 관객은 많은 편이다. 2006년 12월에 개관한 CGV 동래는 온천장에 위치하며, 2007년 8월에 개관한 CGV 대연경성대학교 앞에 개관하여 청소년 및 대학생들이 많이 관람하고 있다. 2009년에 개관한 CGV 아시아드[3월 2일]는 연제구 거제동 사직 운동장 인근 홈 플러스에 위치하며, 2009년에 개관한 CGV 센텀시티[3월 3일]는 스크린 크기[가로 27m, 세로 11.2m]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관으로 세계에서 제일 큰 백화점인 신세계 백화점 센텀 시티점 내에 개관되었다. 마지막으로 2011년에는 MMC 부산대가 CGV 부산대[5월 2일]로 변경되면서 개관되었는데,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위치하고 있다.

[구성]

2010년 CGV 서면은 아이맥스(Imax)와 4D 플렉스 전용관을 열었다. CGV 서면에 오픈된 아이맥스관은 209㎡[19x11m] 규모의 월 투 월(Wall-to-Wall) 스크린과 300석의 좌석을 갖추고 있다. CGV 서면 IMAX관은 상영관 내 40석 규모의 4D 특별석이 함께 마련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현존하는 영상 시스템 중 가장 뛰어난 영상과 음향을 구현하는 것으로 평가받는 IMAX와 CJ CGV가 선도하고 있는 오감 체험 상영관 4D 플렉스를 한 공간에서 만날 수 있는 상영관은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CGV 서면이 유일한 셈이다.

특히 바람, 번개, 레이저, 안개, 버블, 향기 등 4D에서 구현되는 환경 효과는 상영관 전체까지 적용되어 특별석뿐 아니라 일반 좌석에서도 4D의 일부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 이렇게 CGV 서면 IMAX관은 IMAX 사가 디지털화를 선언한 후 국내에 적용된 첫 번째 상영관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부산 CGV 중에는 가로 길이만 무려 27m로 아시아 최대 규모의 스크린을 자랑하는 CGV 센텀시티가 있다. 영화관 규모만 1만 7190㎡로 지역 최대다. 총 10개관 2,141석의 큰 규모와 더불어 초대형 디지털 전용관인 스타리움관이 들어서고 프리미엄 명품 영화관 ‘씨네 드 쉐프(Cine de Chef)’가 부산 지역 최초로 선을 보이는 등 CGV만의 차별화된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황]

부산에는 현재 CGV 서면[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892-20번지 지오 플레이스, 12개관 규모], CGV 남포[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6가 92-1번지 국도 타운 6층, 2개관 516석 규모], CGV 대한[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199번지, 4개관 규모], CGV 센텀시티[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1495번지, 10개관 2,141석 규모], CGV 아시아드[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 1208번지, 8개관 1,503석 규모], CGV 부산대[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292-4번지, 7개관 규모], CGV 동래[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153-8번지, 9개관 1,569석 규모], CGV 대연[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73-15번지 스파크 5층, 8개관 1,164석 규모] 등 모두 8곳의 영화관이 있다.

[참고문헌]
  • 홍영철, 『부산 영화 100년』(한국영화자료연구원, 2001)
  • CGV(http://www.cgv.co.kr)
  • 한국 영화 데이터베이스 KMDb(http://www.kmdb.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