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272
영어공식명칭 KNN|Korea New Network
이칭/별칭 부산방송,PSB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서로 30[우동 1468] KNN 타워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은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영 방송국
설립자 부산방송
전화 051-850-9000
홈페이지 KNN(www.knn.co.kr)
설립 시기/일시 1995년 5월 14일연표보기 - 부산방송[PSB]으로 개국
이전 시기/일시 2012년 11월 22일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서로 30 KNN 타워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2006년 5월 14일연표보기 - 부산방송에서 KNN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 제23회 한국 방송 대상 우수 작품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9월 - FM 라디오 개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 제19회 한국 건축가협회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 제24회 한국 방송 대상 특별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 제25회 한국 방송 대상 우수 작품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12월 - 경상남도 창원시에 경남지사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 제26회 한국 방송 대상 우수 작품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10월 - 인터넷 방송사 락티비닷컴[rakTV.com] 개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11월 - 불모산, 용등 TV 중계소 허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 제27회 한국 방송 대상 우수 작품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 제28회 한국 방송 대상 작품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9월 - DTV 시험 방송 실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9월 - 제14회 아시아 경기 대회 주관 방송사로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 제29회 한국 방송 대상 작품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 제30회 한국 방송 대상 작품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 제35회 한국 기자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7월 11일 - 경상남도 지역 민영방송 사업자로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 제32회 한국 방송 대상 작품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6월 - 불모산 중계소 ATV, DTV 개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2월 - 망진산 중계소 ATV, DTV 개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 제33회 한국 방송 대상 작품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 제33회 한국 방송 대상 작품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8월 - 감악산 중계소 ATV, DTV 개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 제36회 한국 방송 대상 작품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 제36회 한국 방송 대상 작품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11월 - 코스닥 상장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 제37회 한국 방송 대상 작품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 제37회 한국 방송 대상 작품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 제42회 한국 기자상 공로상 부문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 라디오, DMB 광역화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 제38회 한국 방송 대상 작품상
최초 설립지 PSB - 부산광역시 연제구 고분로13번길 15[연산동 603-8]지도보기
현 소재지 KNN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서로 30 KNN 타워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방송사.

[설립 목적]

KNN은 부산 지역의 방송 실시와 방송 문화의 보급 및 이에 수반하는 사업을 행함으로써 지방화 시대를 선도하며, 공공복지의 증진, 교육 혁신과 문화의 창달 및 지역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1994년 4월 공보처의 지역 민영 TV 방송국 참여 신청 공고에 따라 사업 계획서를 제출, 같은 해 8월 부산·경상남도 지역 민영 방송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1994년 9월 7일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김종석 회장, 김경동 대표 이사 등 초대 경영진을 구성하여 부산방송을 설립하였다. 1994년 11월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사옥 공사를 시작하였다. 1995년 4월 시험 방송을 개시하고, 5월 14일에 호출 부호 HLDG-TV, 주파수 503㎒, 채널 19번으로 부산방송[PSB]을 개국하였다. 1996년 6월 21일 사옥 준공식을 가졌다. 연면적 약 9,256㎡에 지하 1층, 지상 5층 구조의 건축물로 1997년 제19회 한국건축가협회상을 수상했다. 1996년 개국 특집 「해양 다큐멘터리」 3부작이 제23회 한국 방송 대상 우수 작품상[지역 사회 TV 부문]을 수상하였다.

1997년 9월 FM 라디오를 개국하였다. 1997년 「적조, 그 죽음의 물결」이 제24회 한국 방송 대상 특별상을 수상하였다. 1998년 「생태 보고 황소개구리 그 365일의 기록」이 제25회 한국 방송 대상 우수 작품상[다큐 TV 부문]을 수상하였다. 1999년 12월 경상남도 창원시에 경남지사를 설치했다. 1999년 「부실 공사, 죽음의 도로」가 제26회 한국 방송 대상 우수 작품상[지역 보도 TV 부문]을 수상하였다. 2000년 10월에 인터넷 방송사인 락티비닷컴[rakTV.com, iKNN 전신]을 개국했으며, 11월에 불모산[창원시], 용등[창원시] TV 중계소 허가를 얻어 마산·창원 지역의 난시청 해소에 기여했다. 2000년 「세상의 밝은 빛은 마음으로 볼 수 있습니다」가 제27회 한국 방송 대상 우수 작품상[어린이, 청소년 라디오 부문]을 수상하였다. 2001년 「생명의 땅, 삼각주」가 제28회 한국 방송 대상 작품상[지역 교양 TV 부문]을 수상하였다.

2002년 1월 한창에서 넥센타이어로 최대 주주가 변경되었다. 2002년 9월 DTV[디지털 TV] 시험 방송을 실시하였고, 제14회 아시아 경기 대회[2002년 아시안 게임] 주관 방송사로 참여하였다. 2002년 「중국 민항기 추락사고」가 제29회 한국 방송 대상 작품상[지역 보도 TV 부문]을 수상하였다. 2003년 「낙동강」이 제30회 한국 방송 대상 작품상[지역 교양 라디오 부문]을 수상하였다. 2003년 「해파리 침공」이 제35회 한국 기자상[기획 보도 부문]을 수상하였다. 2005년 7월 11일 방송위원회가 PSB를 경상남도 지역 민영 방송 사업자로 선정하여 방송권역이 부산과 김해 일원, 양산, 창원, 진해, 거제 등 일부 권역에서 진주와 합천을 포함하여 경상남도 전역으로 확대되었다. 2005년 「신어부사시사」가 제32회 한국 방송 대상 작품상[저널리즘 지역 다큐 TV 부문]을 수상하였다.

2006년 6월에 불모산[창원시] 중계소 ATV[아날로그 TV]와 DTV를, 12월에 망진산[진주시] 중계소 ATV와 DTV를 개국했다. 2006년 5월 지역민 공모를 통해 ‘Korea New Network'의 머리글자를 딴 KNN으로 사명으로 변경했다. 2006년 제33회 한국 방송 대상에서 「한반도 환경 대재앙, 샨샤댐」이 작품상[저널리즘 지역다큐 TV 부문]을 수상하였고, ‘KNN 레이더’가 작품상[정보 공익 지역 생활 정보 라디오 부문]을 수상하였다. 2007년 8월 감악산[거창군] 중계소 ATV와 DTV를 개국하였다. 2007년 12월에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방송 시설[연주소 송출실, 황령산 송신소, 불모산 중계소 완공]을 구축하고 2008년 6월 DMB 방송국을 개국했다.

2009년 제36회 한국 방송 대상에서 「미시 타임」이 작품상[지역 생활 정보 라디오 부문]을 수상하였고, 「라기오·성은진의 노래 하나 얘기 둘」이 작품상[연예 오락 라디오 부문]을 수상하였다. 2010년 11월에 지역 방송국 사상 최초로 코스닥에 상장되었다. 2010년 제37회 한국 방송 대상에서 특집 다큐드라마 「조선의 지혜-구휼(救恤)」이 작품상[지역 다큐멘터리 라디오 부문]을 수상하였고, 낙동강 지류 대탐사 10부작 「강을 만드는 강」이 작품상[지역 다큐멘터리 TV 부문]을 수상하였다. 2010년 부산 지역 태풍 텐무 취재 중 순직한 고(故) 손명환 기자가 제42회 한국 기자상 공로상 부문을 수상하였다.

2011년 라디오 광역화와 DMB 광역화를 이루었으며, 제38회 한국 방송 대상에서 「생생 라디오」가 작품상[지역 교양 정보 라디오 부문]을 수상하였다. 2012년 11월 22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서로 30 KNN 타워에서 신사옥 준공식을 열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TV, 라디오, DMB, 인터넷 등 다매체, 다채널로 종합 디지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지역 정보를 끊김 없이 제공하며, 균형 잡힌 정보를 전달하고자 한다. 다양한 신규 사업 진출을 통해 복합 멀티미디어 그룹을 지향한다. TV에서 뉴스와 보도·시사 프로그램, 교양·다큐 프로그램, 오락 프로그램, 드라마 등을 제공한다. 라디오에서 프로 야구 중계[부산 지역 롯데 자이언츠 전 경기 중계], 교통 정보, 의료 정보 프로그램, 가요 프로그램, 청소년 프로그램, 주부 프로그램 등의 방송을 제공한다. 인터넷에서 KNN TV와 라디오 실시간 방송을 제공하며 지역 정보, 의료 정보, 문화 정보 등을 제공한다.

2012년 현재 KNN 제작 프로그램이 한국 방송 대상을 총 열여섯 차례 수상하였다. 보도 부분에서는 한국 기자상을 두 차례 수상하고, 이달의 기자상을 여덟 차례 수상했다. 이는 지역 민영 방송사 가운데 최다 수상 기록이다. 부산 국제 영화제[PIFF]를 적극 후원하고, 각종 부산 국제 영화제 특집 프로그램을 제작하였으며, KNN 문화재단을 통해 ‘관객이 뽑은 KNN 영화상’을 시상하고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지역 밀착형 문화 사업도 실시하고 있다. 첫째 외교, 예술, 산업, 게임 등 사회 전 분야의 전시·컨벤션 사업을 주최·대행한다. 둘째 대형 이벤트를 기획·진행한다. 셋째 오케스트라 음악회, 뮤지컬, 연극 공연 등 예술 공연을 주최한다. 넷째 지역 스포츠 행사를 진행한다.

[현황]

센텀 신사옥은 연면적 약 8만 2000㎡에 지상 28층 지하 5층 규모이이며 대형 프로그램 3개를 동시에 제작할 수 있는 대형 스튜디오를 갖추고 있다. 지상파, 위성, 케이블 방송, 인터넷을 망라한 멀티미디어 기업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울산방송과 함께 지상파 DMB 사업자로 방송 중이다. 뉴스 프로그램으로 「KNN 모닝 와이드」, 「KNN 뉴스 아이」, 「월드 리포트」, 「뉴스와 생활 경제」, 「뉴스 투데이」 등을 방영하고 있다. 메인 뉴스인 「KNN 뉴스아이」는 개국 이후 현재까지 방송되고 있으며, 2009년 4월 13일부터 HD급 화질로 제작되고 있다.

2023년 11월 현재 TV 프로그램으로는 시사 프로그램 「KNN 파워 토크」, 「부산이 재밌다 Why?」, 교양 프로그램 「네트워크 현장! 고향이 보인다」, 「테마 스페셜」,「메디컬 24시 닥터스」, 「네모세모」, 「법대로 합시다! 더 로이어」, 「공개 클리닉 웰」, 「굿모닝 투데이」, 「보물지도」, 「핸드메이드 in Asia」, 오락프로그램 「쑈! TV 유랑 극단」, 「전국 TOP10 가요쇼」 등을 방영하고 있다. 대표적인 지역 밀착형 프로그램 「쑈! TV 유랑 극단」은 경상남도 지역민이 직접 참여하여 만들어가는 프로그램으로 제작되고 있다. 라디오 프로그램으로는 「김아라의 생생 라디오」, 「KNN 웰빙 라이프」, 「라기오의 딱 좋은 라디오」, 「강영운, 이윤정의 노래 하나 얘기 둘」, 「이해리의 온나라디오」, 「오희주의 라디오라떼」 등을 방영하고 있다.

인터넷 홈페이지에서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첫째 의료 포털 ‘닥터 KNN’을 운영하여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지역의 질환별 전문 병원, 전문의 상담 코너, 건강 상식 등 다양한 의학 정보를 제공한다. 둘째 지역 문화 행사 정보를 ‘LIFE’에서 제공한다. KNN이 주최하는 문화 행사, 사회 체육 행사는 물론 다양한 지역 문화 정보를 제공하며 인터넷 공연 예약, 행사 참가 신청이 링크되어 있다. 셋째 실시간 TV 시청과 라디오 청취가 가능하다. 넷째 프로그램 다시 보기를 제공한다. 특집 프로그램, 방송상 수상작, KNN 뉴스 등 모든 프로그램을 다시 볼 수 있다. 다섯째 신속한 지역 뉴스를 제공한다.

[의의와 평가]

부산 지역을 대표하는 민영 방송사로서 지역 밀착적인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지역 문화를 선도하며 나아가 지역 방송의 한계를 넘어서는 선도적인 민영 방송의 위상을 확고히 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11.21 오탈자 수정 [변천] 「라기오·성윤진의 노래 하나 얘기 둘」→ 「라기오·성은진의 노래 하나 얘기 둘」
2023.11.08 현행화 [현황] 2023년 11월 기준 TV 및 라디오 프로그램 현행화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