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113
한자 大邊膾村
영어의미역 Daebyeon Raw Fish Village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은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테마 거리
최초 설립지 대변 회촌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현 소재지 대변 회촌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에 있는 횟집 밀집 지역.

[건립 경위]

대변 회촌이 형성된 지역은 일찍부터 포구가 형성되어 어업을 하던 곳으로 멸치 조업으로 유명하다. 1971년 1종 어항으로 지정되며 어업 근거지가 되었고, 부산 지역에서 갓 잡아 올린 선도가 높은 멸치 회를 찾는 사람들이 모여들며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되었다.

[변천]

1995년 대변 회촌이 속한 기장군부산광역시에 편입되고 도로 등 기반 시설이 확충되며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며 횟집도 늘어나게 되었다. 이후 해안 도로의 확충과 주변 시설 정비, 기장 멸치 축제 개최 등으로 부산의 대표적인 회촌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구성]

대변 회촌은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되어 구역이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대변항을 따라 조성된 기장 해안로를 따라 조성되어 있다. 신암 마을에서부터 대변항 입구 교차로를 지나 대변초등학교 앞을 거쳐 대변항 등대 방파제로까지 이어지는 해안 도로를 따라 늘어서 있는 횟집 구역 전체를 일컫는다. 해안 도로를 따라 수연 횟집, 방파제 횟집, 9번 횟집, 용암 할매 횟집, 장군 멸치 회촌, 해동 횟집, 파도 횟집, 거북이 횟집, 동백 횟집, 진주 횟집, 항구 횟집, 남항 횟집, 동원 횟집, 풍류 횟집, 일번 횟집, 이화장 횟집, 바닷장어 짚불 곰장어 등이 자리하고 있다.

[현황]

대변 회촌기장군 인근의 동해남해 수역을 아우르는 국가 어항인 대변항을 중심으로 대변항 서쪽에 자리한 무양 마을과 동쪽에 자리한 대변 마을에 자리하고 있다. 전국 멸치 어획량의 60%에 달하는 대변항을 근거지로 기장 특산물인 기장 짚불 곰장어와 아나고[붕장어] 회, 멸치 회 등을 전문으로 한다. 또한 미역과 다시마 등 신선한 수산물에, 기장 지역에서 재배되는 다양한 농산물이 어우러져 다른 지역에서는 맛볼 수 없는 신선한 먹거리가 가득한 곳이다.

특히 대변항이 관광 기능이 겸비된 다기능 어항으로 개발되며 바다 먹거리 지구, 멸치 테마 지구, 어항 중심 지구로 조성되고, 수변 테크 및 친수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기장 팔경 중 하나인 죽도(竹島)[대나무가 많아 붙여진 이름]가 있어 많은 관광객이 찾는 지역이다. 대변 회촌이 있는 대변 마을무양 마을은 주민의 90% 이상이 어업 또는 수산물 판매 등 관련 업종에 종사하고 있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저렴한 가격에 신선도 높은 회를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변항을 중심으로 멸치 회 무료 시식회, 멸치 털기 체험 등의 즐길 거리가 풍성한 기장 멸치 축제가 열리는 매년 4월 말에서 5월 초 봄 멸치 성어기에는 대변 회촌뿐 아니라 인근 지역까지 멸치 회, 멸치 구이, 멸치 찌개 등과 다양한 생선회, 곰장어 구이 등을 먹으러 전국에서 사람들이 모여든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