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9381
한자 原生生物
영어의미역 Protist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영미

[정의]

부산광역시 연해 일대에 서식하는 원생생물계에 속하는 생물.

[개설]

원생생물(原生生物)이란 진핵생물 가운데 동물이나 식물, 균계에 속하지 않는 생물을 가리킨다. 원생생물은 1개 세포로 되어 있는 단체 또는 군체를 이루고 있으며 자유 유영을 하거나 고착 생활을 한다. 원생생물은 영양 획득 방식에 따라 ①엽록체를 가지는 광독립 영양 생물(光獨立營養生物)[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합성하는 생물] ②종속 영양 생물(從屬營養生物)[스스로 유기물을 합성할 수 없어 유기물을 섭취하는 생물] ③종속 영양과 광독립 영양을 조합한 혼합 영양 생물[Mixotroph]로 나뉜다.

대표적인 원생생물로는 규조류, 아메바, 유글레나, 와편모 조류(渦鞭毛藻類), 짚신벌레 등이 있다. 흔히 우리가 볼 수 있는 원생생물의 자연 현상으로는 와편모 조류에 의한 적조(赤潮)가 있다. 적조는 와편모 조류의 대량 발생으로 바다가 붉게 물드는 현상인데, 적조가 증가함으로써 양식업 등 해양 산업에 많은 피해를 주기도 한다.

원생동물 중에서 가장 진화된 무리인 섬모충류(纖毛蟲類)[有毛動物門, ciliates, Ciliophora]는 전 세계적으로 1만 종 내외로 기록되어 있으나, 최근 자료에 따르면 6강 9목 20과 33속 46종의 한국산 담수 및 육상 섬모충류가 보고되어 있다.

[부산의 원생생물]

부산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원생생물로는 다시마와 미역이 있다. 2001년 부산 정수장 검사에서 지아르디아(giardia) 또는 크립토스포리디움(cryptosporidium)이 발견되어 매월 병원성 원생동물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부산 지역의 경우 총 28과 80속 368종이 보고되어 있으나, 식물 부유 생물에 대한 보고가 대부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