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9178
영어의미역 Modan Village
이칭/별칭 지내(池內) 마을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못안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주영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동래군 남면 우동
변천 시기/일시 1942년 - 동래군 남면 우동에서 부산부 수영출장소 우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3년 - 부산부 수영출장소 우동에서 부산시 해운대출장소 우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부산시 해운대출장소 우동에서 부산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 우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부산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 우동에서 부산직할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 우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0년 - 부산직할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 우동에서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우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우동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으로 개편
자연 마을 못안 마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못안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못안[池內] 마을은 장지에 있는 저수지[현 해운대도서관 자리]를 경계로 안쪽에 있다 하여 붙여진 마을 이름이다. 저수지는 장산 선황봉(先篁峰) 계곡의 물을 농업용수로 이용하기 위하여 조성하였다. 장지 마을 위쪽에 있어 윗 마을로도 불린다.

[형성 및 변천]

못안 마을의 명확한 형성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김해 김씨(金海金氏), 김녕 김씨(金寧金氏) 10여 호가 거처하였고, 장지 마을에서 임진왜란을 피해 이주해 와 정착한 것으로 전해진다. 마을이 속한 지역은 조선 후기 동래부 동면(東面) 우리(右里)였으며, 이후 동래군 동하면(東下面)이 되었고, 1914년 남면 우동리(佑洞里) 못안 마을이 되었다. 1942년 부산부 수영출장소에 편입되었고, 1953년 부산시 해운대출장소 관할이 되었으며, 1957년 동래구 해운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80년 4월 해운대출장소가 해운대구로 승격하였고,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못안 마을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못안 마을의 북쪽은 장산에서 이어진 선황봉이 자리하며, 서쪽으로는 장산에서 이어진 봉대산[간비오산으로도 불리며 봉수대가 있었다]이 있다. 마을 북서쪽 골짜기에는 가물어도 마르지 않고 추워도 얼지 않는 돌샘이 있어 우물로 이용되었다. 마을에는 본래 못안 저수지가 있었으나 현재는 사라지고 없다.

[현황]

못안 마을은 선황봉 기슭에 자리한 마을로, 마을 남동쪽으로 동해 남부선 철도와 부산 도시 철도 2호선이 통과하며 해운대역이 있다. 마을의 북서쪽 골짜기에는 해동초등학교해운대관광고등학교, 해운대여자고등학교, 해운대여자중학교가 자리하며, 못안 저수지가 있던 자리에는 해운대도서관[우동 379번지]이 있고, 마을 내에 해운정사와 해운대중앙교회도 있다. 주택과 아파트 단지로 변하여 옛날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북쪽의 선황봉 못안골에는 임진왜란 때 동래 부사 송상현(宋象賢)과 함께 왜군과 싸우다 순절한 군자감 판관 김희수(金希壽)의 묘소와 선황사(先篁祠)[우 1동 98-2번지]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