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9087
영어의미역 Geomjeongdari Village
이칭/별칭 흑교(黑橋) 마을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 검정다리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주경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47년 - 부산부 보수정에서 부산부 보수동으로 개칭
변천 시기/일시 1949년 - 부산부 보수동에서 부산시 보수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1년 - 부산시 보수동에서 부산시 중부출장소 보수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부산시 중부출장소 보수동에서 부산시 중구 보수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부산시 중구 보수동에서 부산직할시 중구 보수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7년 - 보수천 복개·확장 공사로 보수천과 함께 검정 다리가 철거되면서 검정다리 마을 이름도 사라짐
자연 마을 검정다리 마을 -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 검정다리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개설]

마을 지명의 유래가 된 검정 다리는 보수천 중류에 설치되어 중구 보수동서구 동대신동을 연결하였다.

[명칭 유래]

검정 다리의 명칭에 대해서는 여러 이야기가 전하는데, 하나는 개항기 설치된 통나무 다리의 부식을 막으려고 까맣게 그을려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그다음으로는 다리 인근 부산 형무소에 수감된 죄수들의 수의가 검정색인데다, 죄수들이 재판받으러 갈 때 건넜던 다리라고 알려지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또 다른 설로는 주석으로 제작된 다리 난간을 일제 말기 일본이 징발해 가면서 대신 시멘트로 난간을 만들고 그 난간에 검정칠을 하게 된 것에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인근 고로들의 증언이 설득력이 있다. 검정 다리라는 명칭은 지역 주민이 붙인 것이 아니라 부산 형무소를 찾던 외지인들이 이 다리를 지나며 붙였다고 전한다.

[형성 및 변천]

검정다리 마을의 형성 시기에 대해서는 전하는 바가 없으나, 마을 지명의 연원이 된 검정 다리가 개항기 또는 일제 강점기에 설치된 것으로 전하는 바 개항기 이후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검정다리 마을이 속한 보수동은 1876년(고종 13) 일본인 전관 거류지가 설정된 후 일본인의 거주 수가 늘어나면서 일본인 지역이 된 곳으로, 초기에는 보수천 상류에서 일본인을 위해 물을 끌어들이는 시설이 설치된 곳이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는 동명이 확정되지 않고, 이후 부산부 보수정(寶水町) 1정목·보수정 2정목·보수정 3정목이 된 것으로 볼 때 일제 강점기 초기부터 인구가 급증한 지역은 아니다.

1947년 보수동으로 개칭되었다. 1949년 부산부가 부산시로 승격하였으며, 1951년 중부출장소에 속하였다. 1957년 부산시 중구에 속하였으며,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여 중구 보수동 검정다리 마을이 되었다. 검정다리 마을은 주변 지역이 도시화되는 과정에서도 보수천과 검정 다리로 특징지어졌으나, 1987년 보수천의 복개 공사로 검정 다리가 사라지면서 검정다리 마을도 잊혔다.

[자연 환경]

검정다리 마을구덕산에서 발원하여 대신동과 보수동을 거쳐 남항으로 흐르는 보수천의 중류 동쪽으로 자리하던 마을이다. 보수천 물이 맑고 깨끗해 마을 주민의 빨래터이며 목욕터로 이용되었다고 한다. 현재는 복개되어 그 흔적을 찾을 수 없다.

[현황]

보수천이 복개되며 검정 다리도 없어지고 시가지가 팽창하면서 현재는 옛 마을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 다만 검정다리 마을 인근으로 흑교로 및 흑교 사거리의 지명을 부여했고, 현재는 검정 다리 유래비[다리가 있던 자리와 보수동 헌책방 골목 입구]가 세워져 옛 흔적을 알게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