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835
한자 東院-
영어의미역 Dongwon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 동원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표용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831년 - 경상남도 양산군 좌이면 동원리
변천 시기/일시 1906년 - 경상남도 양산군 좌이면 동원리에서 경상남도 동래군 좌이면 동원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동래군 좌이면 동원리에서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면 금곡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3년 -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면 금곡동에서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읍 금곡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읍 금곡동에서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금곡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8년 -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금곡동에서 부산직할시 북구 금곡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북구 금곡동에서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으로 개편
자연 마을 동원 마을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 동원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조선 시대 설치된 동원(東院) 역원이 있던 마을이어서 동원(東院) 마을이라고 불렀다.

[형성 및 변천]

동원 마을의 형성 시기에 대해서는 동원 역원 터 발굴 조사에서 고려 시대에서 조선 시대에 이르는 복합 건물이 확인되었고,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에 양산군에 속한 동원진과 동원역에 대한 기록이 있어 오랜 역사를 확인할 수 있다. 동원 마을은 1831년(순조 31) 양산군 좌이면 동원리에서 양산군 하동방(下東坊)에 속한 동원리가 되었다. 이후 다시 양산군 좌이면에 속하였고, 1906년 동래군 좌이면, 1914년 동래군 구포면 금곡리에 속하였다. 1943년 구포면구포읍으로 승격하였다. 1963년 1월 부산직할시에 편입되어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금곡동 동원 마을이 되었다. 1978년 2월 구포출장소가 북구로 승격되었으며,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 동원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동원 마을은 동쪽으로 금정산 줄기가 병풍처럼 들러져 있고, 서쪽으로 낙동강이 흐른다. 마을은 산지의 강변 언덕 위에 있었다.

[현황]

동원 마을금곡초등학교에서 금곡동원우편취급국 부근까지 걸쳐 있던 자연 마을로, 현재는 도시화로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옛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이 지역은 금곡 청소년 수련관, 금곡 종합 사회 복지관, 금곡초등학교, 금곡중학교, 금곡동원우편취급국 등이 위치해 있고, 낙동강변을 따라 매운탕 등의 음식점이 있다. 마을 서쪽으로 금곡로경부선 철도, 도시 철도 2호선이 양산까지 연결되어 있다. 마을의 옛 이름은 현재 도시 철도 2호선 역명으로 사용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