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830
한자 大川里-
영어의미역 Daecheonri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대천리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표용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개설 시기/일시 1906년 - 경상남도 동래군 좌이면에 편입
개설 시기/일시 1910년 - 경상남도 부산부에 편입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면 화명리로 개편
개설 시기/일시 1943년 -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면 화명리에서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읍 화명리로 개편
개설 시기/일시 1963년 -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읍 화명동에서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화명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1년 -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화명리에서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화명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8년 -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화명동에서 부산직할시 북구 화명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북구 화명동에서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으로 개편
개설 시기/일시 2003년 7월 - 화명동이 화명 1동, 화명 2동으로 분동
개설 시기/일시 2003년 12월 - 화명 1동이 화명 1동, 화명 3동으로 분동
자연 마을 대천리 마을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대천리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금정산 고당봉 아래 북문 고개에서 발원한 물과 상계봉 줄기에서 발원한 물이 합류한 큰 냇물이 대천천(大川川)이다. 대천천 부근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대천리(大川里) 마을로 불리게 되었다.

[형성 및 변천]

대천리 마을의 명확한 형성 시기는 전하는 바가 없으나,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척화신(斥和臣)인 성균관 진사 윤소(尹沼)가 이곳으로 귀양 와 임천정(臨川亭)[대천 개울가에 지은 정자]을 짓고 강학하였다고 전한다. 또한 1640년경에 파평 윤씨(坡平尹氏) 문중이 정착하고, 1720년경에 창원 정씨(昌原丁氏), 1780년경에 경주 최씨(慶州崔氏), 1800년대 전반에 안동 권씨(安東權氏), 후반에 인동 장씨(仁同張氏) 문중이 정착하였다고 전해 마을의 오랜 거주 역사를 짐작하게 한다.

마을이 속한 지역은 1906년 양산군 좌이면에서 동래군 좌이면으로 개편되었다가 1910년 부산부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동래군 구포면 화명동이 되었다. 1943년 구포면구포읍으로 승격되었다가 1963년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며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화명동이 되었다. 1975년 부산직할시 직할 북부출장소에 편입되었다. 1978년 북부출장소가 북구로 승격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대천리 마을이 되었다. 2003년 7월 화명동화명 1동, 화명 2동으로 분동되었고, 2003년 12월 화명 1동화명 1동, 화명 3동으로 분동되었다.

[자연 환경]

대천리 마을의 북동쪽에는 금정산이 있고, 남동쪽에는 쌍계봉이 솟아 있으며, 마을의 북동쪽 북문 고개에서 발원한 대천천이 마을을 가로질러 서쪽 낙동강으로 흘러간다. 마을은 대천천 계곡을 기준으로 남향의 양지 마을과 북향의 음지 마을로 구분된다. 마을의 상징인 대천천은 물의 수량이 풍부하여 많은 웅덩이를 이루고 있으며, 그중에서 첫손에 꼽히는 가장 깊은 곳은 폭포가 있는 애기소(沼)이다.

[현황]

대천리 마을대천리초등학교에서부터 화명 2동 주민자치센터 부근까지 걸쳐 있던 자연 마을로, 현재는 도시화로 옛 마을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현재 이 지역에는 대천리초등학교, 대천리중학교, 금명여자고등학교, 화명 2동 주민자치센터, 화명본동우체국, 평화의 집 등이 있다. 또한 대천천을 따라 금정산성으로 이어지는 산성로가 지난다. 옛 마을이 있던 골목길을 대천천길로 명명하였고, 대천리초등학교, 대천리중학교, 대천 주택 등의 지명에서 옛 마을의 위치와 지명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