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818
한자 公昌-
영어의미역 Gongchang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 공창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표용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831년 - 경상남도 양산군 좌이면 공창리
변천 시기/일시 1906년 - 경상남도 양산군 좌이면 공창리에서 경상남도 동래군 좌이면 공창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동래군 좌이면 공창리에서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면 금곡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3년 -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면 금곡리에서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읍 금곡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읍 금곡리에서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금곡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8년 -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금곡동에서 부산직할시 북구 금곡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북구 금곡동에서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으로 개편
자연 마을 공창 마을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 공창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조선 시대 동원진(東院津)의 역원(驛院), 수참(水站)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살았던 마을이라 하여 공창(公昌) 마을이라 불렀다.

[형성 및 변천]

공창 마을의 형성 시기에 대해서는 기록으로 전하는 바가 없지만, 세조 때 동원 지역으로 수참이 옮겨지며 역리들의 집단 거주지로 형성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공창 마을은 1831년(순조 31) 양산군 좌이면 공창리에서 양산군 하동방(下東坊)의 공창리가 되었다가 다시 양산군 좌이면에 속하였다. 1906년 동래군 좌이면, 1910년 부산부에 편입되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동래군 구포면 금곡동에 속하였다. 1943년 구포면구포읍으로 승격되었다. 1963년 1월 부산직할시에 편입되어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금곡동이 되었다. 1978년 2월 구포출장소가 북구로 승격하였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 공창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공창 마을의 동쪽으로 금정산 장골봉이 있으며, 서쪽으로 낙동강이 남으로 흘러간다. 마을은 산사면의 구릉지에 위치해 있다. 동쪽 산지에서 발원한 골마 도랑이 낙동강으로 흘러들며 마을을 남북으로 나누어, 이전에는 남쪽 고지대의 등마 마을[본 동네]과 골마 마을[북쪽의 낮은 지대]로 구분되어 있었다. 등마 마을은 공창 본 동네로 도랑을 경계로 남쪽의 높은 언덕에 있고, 골마 마을은 공창 본 동네의 도랑을 경계로 낮은 골짜기 지역이었다.

[현황]

공창 마을은 도시화로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며 옛 흔적은 찾을 수 없다. 현재 이 지역에는 부산광역시 인재개발원, 부산여성가족개발원, 부산광역시 교통문화연수원, 금창초등학교, 북구 장애인 복지관, 도시 철도 2호선 금곡역 등이 있다. 마을 앞으로 금곡로가 관통하며, 경부선 철도를 비롯하여 부산 도시 철도 2호선이 양산까지 연결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