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738
한자 書院-
영어의미역 Seowon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서원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정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14년 4월 - 동래군 동래면 원동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42년 10월 - 부산부 동래출장소 안락리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49년 8월 - 부산부 동래출장소 안락리에서 부산시 동래출장소 안락동으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57년 1월 - 부산시 동래출장소 안락동에서 부산시 동래구 안락동으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63년 1월 - 부산시 동래구 안락동에서 부산직할시 동래구 안락동으로 편입
상세 주소 서원 마을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 대로 345 일원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서원(書院) 마을은 조선 후기 현재의 충렬사 안에 안락서원이 있었는데, 그 서원 일원에 있는 마을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형성 및 변천]

서원 마을의 형성 시기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으나, 지명의 유래가 된 안락서원은 1652년 윤문거(尹文擧) 동래 부사가 충렬사를 지금의 자리로 옮기면서 임진왜란 때 순절한 송상현(宋象賢) 동래 부사의 학덕과 충절을 학생들에게 가르치기 위해 지은 소줄당(昭崒堂)에서부터 기원한 것으로 볼 때 이후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읍내면 동부에 안락리충렬사리가 기록되어 있으며, 『동래부읍지(東萊府邑誌)』[1832]에 읍내면안락리와 서원리가 기록되어 있다. 서원 마을의 동명은 『동래부읍지』에서 처음 확인되지만, 안락서원충렬사가 같은 위치에 있으며 충렬사리안락리서원 마을로 바뀌었다고도 전하는 것으로 볼 때 1800년 이전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1914년 4월 행정 구역 개편 때는 염창동·안락동 등과 합쳐져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원동 서원 마을이 되었으며, 1942년 10월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출장소 안락리가 되었고, 1949년 8월 부산시 동래출장소 안락동, 1957년 1월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안락동에, 1963년 1월 부산직할시 동래구 안락동에 속하였다. 1978년 충렬사 정화 사업이 시행되며 시설이 보완되고 부산광역시 충렬사관리사무소 등이 자리를 잡아 옛 마을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자연 환경]

서원 마을 북쪽에는 망월산이 있었고, 남쪽으로 약 700m 떨어진 곳에 수영강의 지류인 온천천이 흘렀다.

[현황]

서원 마을이 있던 곳에는 부산광역시 충렬사관리사무소와 그 마당, 충렬사 안락서원 교육회관, 충렬탑 등이 있고, 그 주변으로는 낮은 일반 주택, 빌라, 상가 등이 밀집되어 있다. 충렬사 울타리 안에는 군관청[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21호]과 동래읍성지[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호]의 동장대, 충렬사 기념관, 동래영 갑주 외 부산광역시 지정 민속자료 2점 등 지정 문화재와 역사 문화 관광 자원이 풍부하다. 옛 마을 남쪽에는 안락 교차로와 충렬 대로가, 동쪽에는 반송로와 도시 철도 4호선 충렬사역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