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709
한자 蓮化洞-
영어의미역 Yeonhwa-dong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2동|초량4동 연화동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류종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04년 - 동래군 사중면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10년 - 사중면 초량동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부산부 초량동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51년 - 부산시 초량출장소 관할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부산시 초량출장소 관할에서 부산시 동구 초량동으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부산시 동구 초량동에서 부산직할시 동구 초량동으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동구 초량동에서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으로 편입
자연 마을 연화동 마을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 2동
자연 마을 연화동 마을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 4동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연화동(蓮化洞) 마을은 마을에 연꽃이 피는 연못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형성 및 변천]

연화동 마을의 형성 시기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임진왜란 때 부산진 첨사(釜山鎭僉使)로 왜군을 맞아 순절한 정발(鄭發) 장군이 마을의 연못에서 낚시를 즐겼다고 전해져 오랜 역사를 짐작할 수 있다. 마을이 속한 지역은 조선 후기 동래부 사천면 구초량리에 속하였으며 해정리라 부르기도 하였고, 1904년 동래군 사중면에 속하였다. 1910년 이후 사중면 초량동, 1914년 부산부 초량동에 편입되었다. 1951년 부산시 초량출장소 관할, 1957년 부산시 동구 초량동에 속하게 된다. 1963년 부산직할시 동구 초량동, 1995년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속하였다.

[자연 환경]

연화동 마을은 서쪽으로 엄광산이 있었고, 북쪽으로 수정산에서 흘러내린 초량천이 마을 인근에서 연못[현재 부산중학교부산고등학교 인근으로 추정]을 이루었으며, 그 남쪽으로 바다와 접해 있었다고 한다. 마을은 해안과 가까워 곳곳에 습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매축과 도시화로 옛 지형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

[현황]

연화동 마을은 2012년 현재 도시화로 흔적을 찾을 수 없으나, 마을이 있던 골목길을 연화길로 명명해 그 위치를 짐작하게 한다. 마을이 있던 지역에는 부산중학교부산고등학교가 옛 연못이 있던 자리에 있고, 초량성당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