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7782 |
---|---|
한자 | 草梁女子夜學 |
영어의미역 | Choryang Girls' Night School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형목 |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 초량 지역에 있었던 여자 야학.
[설립 목적]
3·1 운동 이후 문화 계몽 운동 확산은 “아는 것 힘, 배워야 산다”라는 분위기로 이어졌다. 공립 보통학교에서 입학시험을 치르는 등 입학난은 심각한 사회 문제로서 부각되었다. 특히 학령 아동 중 여자의 공립 보통학교 입학률은 5% 미만 수준이었다. 청년 단체나 여성 단체 등은 여성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이를 위한 대안 교육으로 여자 야학[교]을 운영하는 데 앞장섰다. 여자 학령 아동 구제와 가정부인 문맹 퇴치에 중점을 두었다.
[변천]
1922년 3월 설립 당시 학생 수는 50여 명에 불과하였으나 1928년 12월 말 120여 명으로 급증하였다. 교장 김재준(金在俊)과 7명으로 구성된 교사진은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는 든든한 밑거름이었다. 1931년 3월 25일에는 제8회 졸업식을 거행하였다. 폐교 시기는 알 수 없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교과목은 초등 교육 과정 중 주요한 과목을 중심으로 학예회·운동회·강연회 등을 개최하였다. 교육 수준에 따라 다양한 교과 과정을 운영했다. 특히 교장 김재준은 1937년 상업실수학교를 설립하여 2년 뒤에 인가를 받는 등 실업가·교육자로서 명성을 날렸다.
[의의와 평가]
초량여자야학은 일제 강점기 부산 지역 여성 교육의 산실로서 발전을 거듭하였다. 1931년 3월 거행된 제8회 졸업식은 여성 교육 전당으로서의 면모를 여과 없이 보여준다. 여성 운동 활성화는 이러한 상황과 맞물려 전개되는 등 여성 교육의 사회적인 역할을 엿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