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7724 |
---|---|
한자 | 海雲臺學校組合 |
영어의미역 | Haeundae Association of School |
분야 | 문화·교육/교육,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강대민 |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 해운대 지역에 있었던 일본인 학교 연합 단체.
[개설]
학교 조합은 1909년 반포된 「학교 조합령」에 의하여 재조선 일본인들이 조직한 공공 단체로 일본인의 자녀를 위한 학교를 설립, 운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직되었다. 학교 조합은 관(官)의 감독을 받아 오로지 교육 사무를 처리하는 법인 조직이었다.
학교 조합에서 설립, 운영한 학교로는 소학교, 고등 여학교, 실과 고등 여학교, 상업 전수 학교, 간이 상업 전수 학교, 유치원 등으로 매우 다양하였다. 그러나 설립된 학교의 대다수는 소학교였다. 일제 강점기 동안 「학교 조합령」에 의해 설립된 학교 중 소학교의 비율은 연평균 약 94%였다.
부산학교조합의 1921년도 조합 경영의 학교는 상업 학교 1, 고등 여학교 1, 소학교 7, 유치원 1이다. 부산학교조합 이외의 부산 지역 학교 조합 경영 학교 현황은 1922년 기준으로 구포학교조합[삼류심상소학교, 구포심상고등학교], 동래학교조합[동래심상고등학교], 다대포학교조합[다대포심상소학교], 하단학교조합[하단심상소학교], 용남학교조합[용남심상소학교], 해운대학교조합[해운대심상소학교]이 설립되어 있었다.
[설립 목적]
일제 강점기 일본인의 조선 거주가 허용되면서 조선으로 도항한 일본인들의 교육시설 확충 요구가 커졌다. 이에 일제는 본토에서 시행되던 「소학교령」과 「지방 학사 통칙(地方學事通則)」에 의거하여 조선에 「학교 조합령」을 반포하고 일본인 교육 사업을 보다 정치적이고 조직적으로 추진하여 재조선 일본인을 교육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일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에 학교 조합을 설립하였다. 해운대학교조합 역시 이와 같은 취지 아래 설립되었다.
[변천]
본래 동래 지역에는 동래학교조합이 있었다. 그런데 1917년 7월에 온천장의 일본인 거주자가 증가하여 학교 설립을 위한 법정수를 초과하였다. 이에 조합 설립 인가 신청을 동래군청에 제출하였다. 1917년에 발행된 『조선총독부 관보』 중 「해운대 학교 조합 설치 허가(海雲臺學校組合設置許可)」가 존재하므로 1917년 9월 5일에 처음으로 조합이 설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해체 시기는 알려진 바가 없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학교 조합은 기본적으로 일본인 학교가 가입하였다. 따라서 조선인은 조합에 소속된 학교에 입학하기가 어려웠다. 즉 학교 조합은 일본인을 중심으로 운영되어 조선인이 입학하기에는 조건이 까다로웠으며 일정 금액의 기부금마저 요구하였다. 또한 교과 과정에 조선어의 배정 시간을 줄이고 국어[일본어]를 4배가량 많게 배정하였다. 동시에 국사[일본사], 지리[일본 지리]를 교육하였고 이과, 도화, 창가, 체조, 가사 재봉 등을 교육하였는데 이러한 교과 과정은 조선인 학교의 교과 과정에도 거의 비슷하게 적용되었다.
1932년의 관리자는 임전수춘(林田守春), 미옥청길(米屋淸吉), 수곡가대송(水谷嘉代松), 가무암길(加茂岩吉) 등 7명이었다. 조합 구역은 일제 강점기 동래군 남면의 재송리, 중리, 우리, 좌리이었다. 해운대학교조합에서 경영하고 있는 해운대공립소학교는 1919년에 총 1학급, 총원은 17명이며, 직원은 1명이었고 경상비는 총 943엔이었다. 1929년에는 총 1학급, 총원 18명에 직원은 총 2명이었다. 경상비는 2,162엔이었다.
[의의와 평가]
학교 조합은 기본적으로 재조선 일본인의 교육을 효율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였다. 일본은 조선 내에서의 일본인 거주 지역에 학교 조합을 설립함으로써 일본인을 위한 교육 기관의 설립을 용이하게 하였고 재정적 안정을 꾀하였다. 이러한 의도는 지리적 요충지였던 부산 지역도 마찬가지였다. 해운대학교조합 역시 일본의 이러한 의도 하에 개설되었던 것이다. 결국 이러한 학교 조합 제도는 식민자였던 일본인과 피식민자였던 조선인을 교육적으로 차별한 제도적 장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제 사례가 『동아 일보』 1928년 4월 6일 기사에 실려 있다. 일본에서 나고 자란 조선인이 해운대 소재의 해운대심상소학교에 입학하려다 거절당하였다는 기사는 조선인에 대한 교육 정책과 일본인에 대한 교육 정책의 차이를 실감하게 해주는 기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