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7423 |
---|---|
한자 | 釜山華僑中高等學校 |
영어공식명칭 | Overseas Chinese High School Busan, Korea |
이칭/별칭 | 부산화교중고교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동구 대영로243번길 61[초량동 548-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상재 |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사립 외국인 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중국어를 사용하는 외국인, 외국의 시민권 및 영주권 소지자에게 중등 교육 실시’이다.
[변천]
6·25 전쟁으로 서울에 있던 한성화교초급중학이 부산으로 피난 와, 1951년 6월에 사하구 하단동[현 동아대학교 부지]에서 개교하였다. 1954년 7월에 한성화교초급중학 학생들 중 반이 서울로 돌아가고, 부산에 남아 있는 학생들은 동구 초량동[구 지나영사관 부지]으로 이전하여 한국화교중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55년 5월에 한국부산화교초급중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59년 9월에는 고등부를 개설하여 한국부산화교중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1년 7월 23일에 각종 학교로 인가를 받았다.
[교육 활동]
부산화교중고등학교는 부산에 살고 있는 화교의 역사, 한국 화교들의 역사와 맥을 같이한다. 화교 자녀들에 대한 중화 문화 교육을 통해 중화 문화를 계승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 교과 과정은 타이완의 제도를 모델로 삼고 있다. 교과 과목도 타이완에서와 마찬가지로 중국어, 수학, 사회, 과학, 음악을 가르친다. 과외 활동에는 중국어 서예와 전통 미술, 전통 음악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화교 학교의 교육 과정 자체는 한국에서 인정받지 못한다. 수업 연한은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으로 하고 있다.
[현황]
2012년 1월 기준 총 6학급에 128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12명의 전임 교원과 3명의 겸임 교원 등 총 15명이 근무하고 있다. 현재 3개 동의 건물이 있는데, 운동장에서 정면으로 보이는 본관 건물에는 교실, 교무실, 컴퓨터실 등이 갖춰져 있으며, 본관 오른편에는 2층 건물이 하나 있는데 아래층에는 음악실과 교장실이 있고, 위층에는 부산화교협회 사무실이 있다. 본관 뒤편에는 낡은 교실 건물이 하나 더 있는데, 이곳은 현재 학생 기숙사로만 이용한다. 학교 이사회는 이사장[현 손현충(孫顯忠)]과 고문 8명, 부이사장 4명, 상무 이사 11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