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7415 |
---|---|
한자 | 釜山海事高等學校 |
영어의미역 | Busan National Maritime High School |
이칭/별칭 | 부산해사고,국립부산해사고등학교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 425[동삼동 1125-2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명희 |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국립 특수목적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올바른 직업의식과 전문 지식 및 평생 학습 능력을 갖춘 글로벌 해운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국가에 충성하는 사람, 생활에 근면한 사람, 직무에 성실한 사람, 상호 협동하는 사람’이다.
[변천]
1977년 8월 30일에 국립한국선원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8년 3월 27일에 영도구 청학동에서 개교하였다. 1979년 6월 20일에 국립부산선원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84년 3월 1일에 3년제 각종 학교로 인가를 받았다. 1993년 3월 3일에 부산해사고등학교[정규 실업계 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2007년 2월 5일에 영도구 동삼동의 현 교사로 신축 이전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10대 이상문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33회 졸업식을 통해 152명이 졸업하여 총 7,287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해사고등학교는 해운 산업 수요 맞춤형 교육 과정 개발·운영, 산학 협력 네트워크에 기초한 경력 관리 체계 구축, 해양 마이스터를 꿈꾸는 평생 학습 능력과 태도 배양, 정규 및 방과 후 교육 과정의 조화로운 결합에 의한 즐거운 학교 등에 중점을 두고 교육하고 있다. 학교 특색 사업으로 흥미와 학습이 창조적으로 통합된 토요 스쿨 프로그램 구성, 생활관을 해기사 직업 기초 능력 배양을 위한 승선 생활관으로 운영, 졸업 5~10년 후 졸업생에 대한 장기적 추수 관리 시스템 개발·구축 및 운영 등을 실시하고 있다.
1984년 12월 1일에 해운항만청으로부터 해기사 지정 교육 기관으로 지정되었으며, 1992년 9월 23일에 교육부로부터 특수 목적 고등학교로 지정되었다. 특수 목적 고등학교란 특수 분야의 전문적인 교육을 위하여 「초·중등교육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2955호]에 의해 설립된 고등학교이다. 2010년 11월 25일에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해양 분야 마이스터 고등학교로 지정되어 운영하고 있다. 해양 분야 마이스터 고등학교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90조의 산업 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로, 유망 분야의 특화된 산업 수요와 연계하여 예비 마이스터[Young Meister]를 양성하는 특수 목적 고등학교이다. 입학금 및 수업료, 기숙사비, 교복비 등 전액이 국비에서 지원되며, 승선 과정을 수료하면 해기사 4급 면허를 자동 취득하게 된다. 졸업 후 3년간 승선 근무를 하면 병역 특례 혜택이 있으며, 취업 후에도 지속적인 국비 지원 무상 재교육의 기회를 제공받는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이은상/작곡 김성태]
우리는 슬기론 대한의 아들/ 충무공 정신을 이어받았다/ 의기와 정열을 여기서 길러/ 내 일생 내 힘으로 개척하리라/ 자유와 평화는 우리의 이상/ 성실과 협동의 우리의 신념/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닦아/ 새 일꾼 자라나는 부산해사고.
2. 교목: 소나무이다. 사계절 푸른 기상과 꿋꿋한 의지를 상징하며, 일생을 스스로 개척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3. 교화: 진달래로 성실과 근면의 덕목을 닮으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현황]
2013년 3월 1일 현재 총 24학급에 480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기관과 4학급에 82명, 항해과 4학급에 82명, 2학년은 기관과 4학급에 78명, 항해과 4학급에 79명, 3학년은 기관과 4학급에 78명, 항해과 4학급에 81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56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22명으로 총 80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6만 2338㎡로, 외국어 교실부실, 해양 과학 실습실, 전기 실습실, 기계 공작실, 용접실, 기관 실습실, 항해 실습실, 기관실 시뮬레이터실, 자동 제어 실습실, 운용 실습실, 통신 운용 실습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