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7414 |
---|---|
한자 | 釜山體育高等學校 |
영어의미역 | Busan Sport High School |
이칭/별칭 | 부산체고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영도구 중리북로21번길 5[동삼동 525]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명희 |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공립 특수목적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창의적 사고와 넉넉한 품성을 바탕으로 명예를 존중하고 국위를 선양할 수 있는 체육인 육성’이다. 교훈은 ‘극기(克己)’이다.
[변천]
1972년 12월 29일에 부산체육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3년 3월 5일에 영도구 동삼동에서 개교하였다. 같은 해 6월 4일에 부산체육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75년 11월 14일에는 부산체육고등학교로 승격 인가를 받았다. 2010년 3월 1일에 제12대 김창민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35회 졸업식을 통해 90명이 졸업하여 총 2,833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졸업생 중에는 1984년 LA 올림픽 유도 금메달리스트인 하형주와 2012년 런던 올림픽 유도 동메달리스트인 조준호 등이 있다.
[교육 활동]
부산체육고등학교는 1992년 6월 17일 체육 분야 특수 목적 고등학교로 지정된 이래, 명예를 중시하는 체육인 육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수 목적 고등학교란 특수 분야의 전문적인 교육을 위하여 「초·중등교육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2955호]에 의해 설립된 고등학교이다. 전문 체력 목표 달성제와 출전 평가제 시행, 스포츠 선진국 교류 확대 등을 통한 전문 경기력 향상, 수준별 맞춤식 교과 운영과 체육 시설 환경 개선, 지도자 자기 계발 연수 강화 등을 통한 엘리트 체육 기반 조성, 창의적 체험 활동 강화와 체험 중심 경제 교육의 내실화, 인성 교육 덕목의 생활화 등을 통한 민주 시민 기본 교육 강화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학교 특색 사업으로 경제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정책 연구 학교 운영, 종목별 체력 D/B 구축 및 출전 체력 인증제 실시, 글로벌 선수 육성을 위한 스포츠 선진국 국제 교류 강화 등을 전개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박지홍/작곡 이상근]
보아라 여기 남해 푸른 바다엔/ 충무의 슬기가 넘쳐흐르고/ 장엄한 태종대의 산과 들에는/ 화랑의 기개가 굽이치누나/ 그 슬기와 기개를 고이 받들어/ 우리는 빛내리 부산체육고/ 우리는 빛내리 부산체육고.
2. 교목: 월계수이다.
3. 교화: 동백이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9학급에 308명[남 219, 여 89]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3학급에 114명[남 84, 여 30], 2학년은 3학급에 92명[남 67, 여 25], 3학년은 3학급에 102명[남 68, 여 34]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28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12명으로 총 42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4만 9340㎡로, 도서실, 올림픽스포텔, 월계관[체력 단련실, 유도, 태권도, 복싱, 사격, 양궁, 육상], 백련관[체조, 수영], 개선관[역도, 레슬링, 펜싱]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