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332
한자 釜山公立職業學校
영어의미역 Busan Public Vocational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흑교로 74[보수동 1가 50-1]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장상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립 직업 학교[중등]
설립자 일본인 학교 조합[1924년]
개교 시기/일시 1924년 4월연표보기 -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로 개교
개교 시기/일시 1946년 9월 1일 - 부산공립공업중학교로 재개교
폐교 시기/일시 1946년 8월 31일연표보기 - 부산공립직업학교 폐교
개칭 시기/일시 1932년 4월 1일연표보기 -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에서 부산공립공업실수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33년 6월 8일연표보기 - 부산공립공업실수학교에서 부산공립직업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32년 - 공업전수학교 병설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40년 5월 4일 - 부산공립공업학교 병설로 변경
최초 설립지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 - 부산광역시 중구 흑교로 74[보수동 1가 50-1]지도보기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에 있던 공립 교육 기관.

[교육 목표(교훈 포함)]

부산공립직업학교는 일제 강점기에 실업·공업·직업 교육의 보급과 발달에 기여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하였으며, 부산에 거주하던 일본인[학교 조합]들이 자녀들의 직업 교육 기관으로 설립하였다.

[변천]

1924년 4월에 일본인 학교인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2년제]를 설립하여, 중구 보수동 1가[당시 보수정 1정목]의 제5심상소학교 내에서 개교하였다. 일본인 학생만으로 정원이 차지 않아 한국인 학생들도 수용하였다. 1932년 4월 1일에 부산공립공업실수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보통학교와 소학교의 6년 졸업 정도의 학력을 가진 자가 입학할 수 있는 공업전수학교[3년제]를 병설하였다. 1933년 6월 8일에 공업전수학교의 전수과를 흡수하여 부산공립직업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40년 5월 4일에 부산공립공업학교[5년제]가 신설되면서 사실상 부산공립공업학교에 병설된 상태로 변경되었다. 해방 이후 1946년 8월 31일에 폐교하였으며, 학교가 있던 자리에서 그해 9월 1일에 부산공립공업중학교[6년제]로 재개교하였고, 현재는 1953년 7월 9일 이후 보수초등학교가 들어서 있다. 부산공립공업중학교는 많은 변화를 거쳐 지금의 부산공업고등학교부경대학교로 바뀌어 있다.

1924년 당시 2학급에 40명, 1930년 3학급에 64명, 1932년 4학급에 93명, 1936년 7학급에 178명 등이 재학하고 있었다. 교직원들로 역대 교장은 중촌청차랑[中村晴次郞, 1924~1925], 천도계[川島桂, 1934], 교유(敎諭)는 인지귀길[引地龜吉, 1924~1925], 다하성삼[多賀省三, 1926], 촉탁(囑託)은 소원성길[小原盛吉, 촉탁 교원, 1924~1925], 중촌상의[中村常義, 촉탁 교원, 1925~1927], 동금장[東金藏, 임시 촉탁, 1925~1926] 등이 알려져 있다.

[교육 활동]

부산공립직업학교는 실업 학교 규정과 실업 보습 학교 규정에 의하여 남자로서 공업에 종사하려는 자에게 공업에 관한 지식과 기능을 가르치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령 12세 이상의 심상소학교[현 초등학교] 졸업 정도의 학력이 있는 자를 입학시켰으며, 수업 연한은 2년이었다. 부산공립직업학교로 개명한 이후의 학교 편제는 가구과, 건축과, 목공 목형과[이상 3년제], 광산과, 기계과, 토목과[이상 2년제], 도공과(塗工科)[1년제] 등이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