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330
한자 釜山高等學校
영어의미역 Busan High School
이칭/별칭 부산고교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로40번길 23[초량동 806-17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명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립 고등학교
설립자 조선총독부[1914년]
전화 051-600-0700
홈페이지 부산고등학교(http://busan.hs.kr)
인가 시기/일시 1914년 4월 1일 - 관립부산중학교로 설립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14년 4월 20일연표보기 - 관립부산중학교로 개교
개교 시기/일시 1945년 10월 10일연표보기 - 부산공립중학교로 재개교[6년제]
폐교 시기/일시 1945년 8월연표보기 - 일제 패망으로 폐교
이전 시기/일시 1914년 11월 28일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3가 315번지에서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로 40번길 23[초량동 806-177번지]으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25년 4월 1일연표보기 - 관립부산중학교에서 부산공립중학교로 개칭[경상남도 이관]
개칭 시기/일시 1950년 5월 30일연표보기 - 부산공립중학교에 병설되어 부산공립중학교 병설 부산고등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51년 9월 1일연표보기 - 부산공립중학교와 분리하여 부산공립중학교 병설 부산고등학교에서 부산고등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10월 22일 - 과학 중점 학교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1월 6일 - 과학 중점 학교 우수 학교로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9월 8일 - 대한민국 좋은 학교로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12월 21일 - 100대 교육 과정 우수 학교 수상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5년 2월 - 고 서석재 졸업[제8회 졸업생, 전 정치인]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1년 2월 - 고 김진재 졸업[제14회 졸업생, 전 기업인, 전 정치인]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0년 2월 - 안철수 졸업[제33회 졸업생, 전 기업인, 전 교수]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5년 2월 - 곽경택 졸업[제38회 졸업생, 영화감동]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1년 2월 - 추신수 졸업[제54회 졸업생, 메이저리그 야구 선수]
최초 설립지 관립부산중학교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3가 315[구 부산부 보수정 1정목 부산심상고등소학교 내]
주소 변경 이력 관립부산중학교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로 40번길 23[초량동 806-177]
현 소재지 부산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로 40번길 23[초량동 806-177]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주도할 실력과 인간적 품성을 갖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감사하자, 굳세자, 힘쓰자’이다.

[변천]

부산고등학교의 전신은 1914년 4월 1일에 조선총독부 고시로 설립이 결정되어 그해 4월 20일에 입학식과 함께 중구 보수동[당시 부산부 보수정 부산심상고등소학교 내]에서 개교한 관립부산중학교[5년제 1학급, 두 번째 관립 일본인 남자 중학교]이다. 1914년 11월 28일에 동구 초량동[부산부 초량정, 현 부산고등학교 위치]으로 이전하였고, 1925년 4월 1일에는 경상남도로 이관되어 부산공립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45년 8월까지 28회에 걸쳐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일제의 패망으로 폐교하였다. 해방 후인 1945년 10월 10일에 미군정에 의해 부산공립중학교[6년제]로 재개교하여 1~4학년의 동시 입학식을 거행하였으며, 1947년 6월에 제1회 4년제 졸업생 26명을, 1949년 6월에 제2회 6년제 졸업생 40명을 배출하였다.

1950년 5월 30일에 학제 변경에 따라 부산공립중학교부산고등학교[3년제]를 병설하였고, 부산공립중학교 병설 부산고등학교는 그해 6월 22일 설립 인가 후 첫 입학식을 가졌다[현 부산고등학교의 개교 기념일]. 1951년 9월 1일에 학제 개편에 따라 부산공립중학교와 분리되면서 부산공립중학교 3학년까지의 과정은 부산동중학교로, 부산공립중학교 4학년 이상의 과정과 병설 부산고등학교는 부산고등학교로 각각 변경되었다. 2012년 2월 9일에 제65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3만 1125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그해 2월 1일에 제16대 조갑룡 교장이 취임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고등학교는 60여 년 역사와 전통을 가지며, 3만여 동문이 각계각층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해 온 한국 사회 인재의 산실 역할을 해 왔다. 미래형 인재 교육의 기반 구축, 멋이 살아 있는 학교 문화 창출, 창의력 신장을 위한 맞춤식 교육 등을 통해 학생으로 하여금 타고난 저마다의 소질 계발하고 자기실현을 이룰 수 있게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2009년 10월 22일에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과학 중점 학교로 지정된 이래, 학교 특색 사업으로 과학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2011년 1월 6일에 과학창의재단으로부터 과학 중점 학교 우수 학교로 선정되었다. 2011년 9월 8일에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대한민국 좋은 학교’에 선정되었고, 그해 12월 21일에는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100대 교육 과정 우수 학교를 수상한 바 있다. 야구부는 1947년 창단된 이래, 전국 대회에서 수십 차례 우승을 하였을 정도로 우수한 실적을 내었고, 현 메이저리그 야구 선수 추신수[제54회 졸업생]를 비롯한 한국 야구 역사에 남을 만한 선수를 다수 배출하였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유치환/작곡 윤이상]

아스라이 한겨레가 오천 재를 밴 꿈이/ 세기의 굽잇물에 산맥처럼 부푸놋다/ 배움의 도가니에 불리는 이 슬기야/ 스스로 기약하여 우리들이 지님이라/ 스스로 기약하여 우리들이 지님이라.

2. 교표: 제5회 졸업생인 김수석이 만든 한자 ‘고(高)’이다.

3. 교목: 향나무이다. 변함없는 푸른 잎은 정직을, 곧게 뻗은 가지는 냉철한 판단력을, 은은한 향기는 겸손을 상징한다.

4. 교화: 개나리이다. 이른 봄에 피는 개나리는 부산고등학교 학생의 선각자적, 개척자적인 굳은 정신을 상징한다.

[현황]

2012년 3월 기준 총 30학급에 935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10학급에 304명, 2학년은 10학급에 342명, 3학년은 10학급에 289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61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6명으로 총 69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2만 2218㎡이며, 9층의 현대식 건물[2003년 준공]의 교사가 있다. 컴퓨터실, 과학실, 미술실, 음악실, 체육관, 강당, 야구부 합숙소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