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7128 |
---|---|
한자 | 金城初等學校 |
영어의미역 | Gumseang Elementary School |
이칭/별칭 | 금성초교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리1길 15[금성동 609]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경원 |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더불어 행복한 삶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변천]
1937년 3월 21일에 구포공립보통학교 부설 금성강습소로 금정구 금성동에서 개교하였고, 해방 이후 1946년 9월 1일에 금성공립국민학교로 승격되어 재개교하였다. 1963년 1월 1일에 부산시로 편입되면서 금성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96년 3월 1일에 금성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32대 김외숙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67회 졸업식을 통해 27명이 졸업하여 총 1,793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금성초등학교는 ‘작은 학교, 행복한 아이들’을 위해 존중과 건강, 생태를 지향하는 ‘따뜻한 돌봄’, 배려와 나눔, 공동체를 지향하는 ‘함께하는 어울림’, 설렘과 창의, 소통을 지향하는 ‘몰입하는 배움’ 등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학교 특색 교육으로 문화 예술 교육 중심 통합 교육 과정 운영으로 행복한 학교 만들기, 무학년제 다모임, 계절 학교 운영으로 어울림 문화 만들기, 마을과 함께하는 공동체 문화 만들기 등을 실시하고 있다.
2007년 3월 1일에 문화 예술 교육 선도 학교로 지정[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되어 운영되었고, 2008년 9월 1일에는 예술 꽃 씨앗 학교로 지정[문화체육관광부]되어 운영되었다. 2011년 3월 1일에 학력 향상형 창의 경영 학교[학교 단위의 자율·책임·창의 교육을 통해 창의·인성 교육과 진로 교육, 학생 중심 맞춤형 교육을 추구하는 학교-학력 향상형은 학습 부진 학생 학습 지도·관리 체계화 및 정신 건강의 문제로 뒤처지는 학생을 지원하는 학교 교육 모델을 개발한다]로 지정[교과부]되어 운영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박한수/작곡 오석우]
금정산 곧은 정기 여기 모이고/ 동문 앞 바람 소리 우렁찬 기상/ 두루산성 장군문 지켜 온 고장/ 그 이름도 튼튼하다 금성초등교/ 내 고장의 횃불이다 갈고 또 닦는/ 우리는 착한 일꾼 금성의 어린이.
2. 교목: 소나무이다. 꿋꿋한 기상으로 푸른 꿈을 알뜰히 키우는 금성 어린이의 의지를 상징한다.
3. 교화: 개나리이다. 아름다운 심성과 활기찬 생활로 고운 꿈을 가꾸어 소망을 이루려는 금성 어린이의 염원을 상징한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6학급에 121명[남 70, 여 51]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1학급에 25명[남 15, 여 10], 2학년은 1학급에 18명[남 12, 여 6], 3학년은 1학급에 20명[남 9, 여 11], 4학년은 1학급에 19명[남 14, 여 5], 5학년은 1학급에 22명[남 12, 여 10], 6학년은 1학급에 17명[남 8, 여 9]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10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3명으로 총 15명이 근무하고 있다. 교지 총면적은 1만 967㎡로, 도서실, 민속 자료실, 방송실, 전산실, 과학실, 컴퓨터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