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116
한자 敎育支援廳
영어의미역 Office of Education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성병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재지 부산광역시 남부교육지원청 - 부산광역시 남구 못골로 29[대연동 1272]지도보기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교육지원청 -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로 179번길 31[복천동 72-8]지도보기
소재지 부산광역시 북부교육지원청 - 부산광역시 북구 백양대로 1016번 다길 44[구포동 1137]지도보기
소재지 부산광역시 서부교육지원청 - 부산광역시 서구 꽃마을로 33[서대신동 3가 163-2]지도보기
소재지 부산광역시 해운대교육지원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세실로 137[좌동 1290]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의 남부·동래·북부·서부·해운대 구역을 담당하는 교육 행정 기관.

[설치 배경과 역할]

시도의 교육청은 교육감(敎育監)의 감독 아래 국가 행정 사무 중 시도에 위임된 교육·학예에 관한 업무를 집행하며, 1개 또는 2개 이상의 시·군·구를 관할 구역으로 하는 지역 교육청을 두고 있다. 지역 교육청은 시도 교육청의 하급 교육 행정 기관으로, 교육장[3급 상당]의 감독 아래 시도의 교육·학예에 관한 사무를 일부 분장한다. 주요 사무는 공립·사립의 초등학교·중학교·기술 학교·유치원 등의 운영·관리에 관한 지도와 감독 등이다.

2010년 9월부터 부산광역시 교육청 산하의 지역 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본청 및 교육지원청의 업무를 기존의 관리 중심에서 학교 현장과 교육 수요자 중심으로 개편하였다. 이러한 명칭의 변경은 장학 업무의 경우 점검·감독 위주의 담임 장학제를 폐지하고, 일선 교사와 학교의 요청이 있을 때 교수 등으로 팀을 구성해 실시하는 컨설팅 장학으로 전환하였으며, 일선 고등학교의 교수 학습 지원 업무와 급식·보건, 시설 유지 보수 업무는 본청에서 교육지원청으로 이관하고,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의 학교 평가 업무는 교육 연구 정보원에서 맡도록 하는 등의 업무 재조정을 행하였다.

[변천]

1973년에 동부교육구청과 서부교육구청을 개청하였고, 1981년에는 남부교육구청을 개청하였다. 1987년에는 동래교육구청을 개청하였고, 1996년 3월에는 북부교육청과 해운대교육청을 개청하였다. 2007년 3월에는 동부교육청과 남부교육청을 통폐합하였으며, 2010년 9월 1일에 교육지원청으로 관서 명칭을 변경하였다.

[현황]

부산 지역의 지역 교육청은 1996년 3월 1일 『지방 교육 자치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에 의거, 북부교육청 및 해운대교육청이 신설되어 6개 지역 교육청으로 개편된 이래 2003년까지 2국 6과 체제로 유지되었다. 2007년 3월 1일에 계속되는 학령 인구의 감소와 인건비 감축 등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위해 지역 교육청을 통폐합하면서 지역 교육청별 관할 행정 구역도 조정되었다.

2012년 현재 2국[교육 지원국, 행정 지원국], 6과[초등 교육 지원과, 중등 교육 지원과, 학생 건강 안전과, 행정 지원과, 지역 사회 협력과, 시설 지원과]의 직제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부산광역시 서부교육지원청사하구·서구·영도구·중구를, 부산광역시 남부교육지원청남구·동구·부산진구를, 부산광역시 북부교육지원청강서구·북구·사상구를, 부산광역시 동래교육지원청금정구·동래구·연제구를, 부산광역시 해운대교육지원청수영구·해운대구·기장군을 담당하고 있다.

[참고문헌]
  • 부산광역시 교육청(http://www.pen.go.kr)
  • 부산광역시 남부교육지원청(http://nambu.pen.go.kr)
  • 부산광역시 동래교육지원청(http://dongnae.pen.go.kr)
  • 부산광역시 북부교육지원청(http://bukbu.pen.go.kr)
  • 부산광역시 서부교육지원청(http://seobu.pen.go.kr)
  • 부산광역시 해운대교육지원청(http://haeundae.pen.go.kr)
  • 『부산 교육사』(부산광역시 교육청, 2009)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