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921
한자 技術學校
영어의미역 Technical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안경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49년 12월 31일 - 『교육법』에 의해 공포

[정의]

1949년 12월 31일 공포된 『교육법』에 의해 설립된 부산 지역 중학교 과정의 직업·기술 학교.

[개설]

기술 학교는 1949년 12월 31일 공포된 『교육법』에 의해 설립된 직업·기술 학교이다. 교육 목표는 첫째, 개성의 경향과 천부의 재능을 자발적으로 발휘하는 연구 태도를 조장하여 창조적 능력을 계발하고 전문적 기술을 습득하게 한다, 둘째, 국가 사회의 산업 또는 무역 등의 실정에 신중한 관심을 가지게 한다, 셋째, 경제적 경영과 실무적 기획에 능숙하게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교육 연한은 1~3년이며, 교육 대상은 국민학교 또는 공민학교 졸업자, 또는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라야 한다. 설치 당시에는 농업 부문[9개 과]·공업 부문[41개 과]·수산 부문[4개 과]·기타[15개 과]의 4개 분야에 69개 과를 설치하였으나, 1977년 2월에 개정된 교육법 시행령에서는 재조정하였다.

[변천]

기술 학교의 교육은 학력과 연령, 기술 내용에 따라 중학교급의 기술 학교와 고등학교급의 고등 기술 학교로 분류되어 있다. 공업과 상업, 농업 등 실업 교육의 정규 교육 과정이 개정되기 전인 1950년대 6·25 전쟁 등 사회적 격동에도 불구하고 산업 현장의 생산 기능 인력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기술 학교 설립이 가속화되었다.

1964년에 부산시 교육연구소가 편찬한 『연구 보고』 제9호에 의하면, “학령 초과아들을 위한 교육 기관으로서 인문 과정을 교육하고 있는 71개의 공민학교 외에 6개의 기술 학교에서 기능공으로서의 자질을 키워 주고 있으니, 현재 남자 477명, 여자 275명, 계 752명의 학생이 취학 중에 있다. 1964년에는 551명이 수료하였으며, 그중 고등학교로 진학한 자가 22명, 취직한 자가 352명이나 된다. 752명의 기술 학교 학생을 지도하는 교원 수는 52명으로, 55학급으로 편성된 이들 학생들은 31개의 교실에서 수업을 받고 있으며, 체육 시설 등은 거의 정비되어 있지 않았다”라고 되어 있다.

『연구 보고』 제9호에는 고등 기술 학교의 현황이 누락되어 있어 그 실상을 알 수 없으나, 학생의 연령별 통계가 14세에서 21세로 분포되어 있는 점이라든가, 학과별 구분이 무선 통신, 수선 전기 기술, 이용, 미용, 양재, 기계, 농예, 경리 등으로 분류된 점으로 보아 고등 기술 학교의 통계와 뒤섞인 것이 아닌가 한다. 1960년대 초반에는 무선 통신과와 무선 기술과 등 8개 학과에서 주야 26개 학급, 총 752명을 양성하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다음은 부산의 1967년과 1968년의 기술 학교 현황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이때 공인된 기술 학교는 경남자동차기술학교[1951년 5월 31일 서홍헌 설립]와 한독공과기술학교[1965년 10월 12일 칼로슈미케 설립] 2개 학교였으나, 1년 동안 62명의 학생이 증가한 것은 한독기술학교의 학급 수 증설과 기술 교육 수요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1974년 부산의 기술 학교 현황은 다음과 같다. 1974년 자료에 의하면, 무광전자기술학교와 경남자동차기술학교, 한독여자기술학교, 부산상록기술학교, 고성기술학교 등 5개 학교로 조사되었으며, 개설 학과는 전자, 자동차 기술, 직물, 목공예, 섬유 등이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중앙기술학교[1974년 2월 6일 설립]가 중구 영주동에, 동부산기술학교[1975년 2월 24일 설립]가 동래구 우동에 설립되면서 그 과정의 분화가 나타나고, 학생 수도 1974년 788명[여 331]에서 1977년 2,426명으로 대폭 증가하였다. 1980년의 기술 학교의 수는 5개 학교였다. 부산진구 우암동에 소재하였던 한독여자기술학교가 각종 학교로 개편 승격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학생 수는 708명으로 대폭 줄어들었다.

[현황]

기술 학교는 1960년대와 1970년대의 교육 상황에서 독특한 비중을 차지하고 사회 교육 기관으로서의 구실을 크게 하였으나, 부산의 기술 학교도 전국적인 기술 학교와 그 추세를 같이하면서 차츰 감소 현상을 나타내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서는 대부분이 고등 기술 학교나 전문계 학교로 전환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