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6922 |
---|---|
한자 | 高等技術學校 |
영어의미역 | Higher Technical School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안경식 |
[정의]
부산 지역에서 중학교나 기술 학교를 졸업한 사람들에게 실제 직업에 필요한 기술 교육을 실시하던 학교.
[개설]
고등 기술 학교는 1949년 12월 31일 공포된 「교육법」에 의하여 설립된 부산 지역의 고등학교 과정의 직업·기술 학교이다. 고등 기술 학교의 교육 목표는 첫째, 개성의 경향과 천부의 재능을 자발적으로 발휘하는 연구 태도를 조장하여 창조적 능력을 계발하고 전문 기술을 습득하게 한다. 둘째, 국가 사회의 산업 또는 무역 등의 실정에 신중한 관심을 가지게 한다. 셋째, 경제적 경영과 실무 기획에 능숙하게 한다는 등의 세 가지로 되어 있다. 고등 기술 학교의 수업 연한은 1~3년이다.
[변천·현황]
1967년 부산 지역에서 고등 기술 학교를 설치할 당시에는 농업 부문[9개]·공업 부문[41개]·수산 부문[4개]·기타[15개] 등의 4개 분야에 69개 과를 두었다. 그 뒤 1977년 2월에 개정된 「교육법 시행령」에서는 상업 부문 6개 과와 가사·실업 부문 6개 과를 신설하였다.
1960년대 중반기 부산 지역의 고등 기술 학교는 6개[부산고등기술학교, 동국기술학교, 한국고등기술학교, 국제여자고등기술학교, 성지고등기술학교, 부린고등기술학교 등]이며, 23학급, 학생 수 857명, 교원 수 50명이었다. 그러나 1967년 이후, 동국기술학교, 성지고등기술학교, 부린고등기술학교 등이 일반 고등학교로 개편되는 등 정규 학교로의 전환이 활발해졌다. 1970년대에 들어서는 학교 수는 감소하였으나 학생 수가 증가하여 1974년에는 2,309명이나 되었고, 1980년대에 들어서는 부산상록고등기술학교, 동부산고등기술학교가 설립되어 다시 5개 교가 되었다.
1980년 후반부터는 점차 정규 일반 공고로 전환하는 추세에 따라 동래원예고등학교, 동래공업고등학교, 부산해사고등학교, 해운대공업고등학교, 대광공업고등학교, 금정전자공업고등학교 등의 정규 공업계 고등학교로 인가 운영되고, 1997년 소년의집 기계공업학교[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 소재], 한국고등기술학교[동구 초량동 소재] 2개교만 운영되었다.
2013년 1월 현재, 고등 기술 학교는 한국고등기술학교가 교명 변경한 부산국제영화고등학교 1개교[학급 수 17학급, 학생 426명, 교원 36명]만 운영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