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6732 |
---|---|
영어의미역 | Palgong Nori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놀이/놀이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
집필자 | 김국희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의 가덕도에서 아이들이 땅에 ‘8’자 모양의 그림을 그려 놓고 편을 나누어 겨루는 놀이.
[개설]
팔공 놀이는 편을 가른 아이들이 땅에 커다란 ‘8’자 모양의 놀이판을 그려 놓고, 그 속에 있는 상대의 특정 영역을 먼저 차지하면 이기게 되는 신체 단련형 민속놀이이다. 팔공 놀이는 아이들 간의 단결심과 민첩성, 투쟁력과 지략을 배양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놀이 도구 및 장소]
특정한 놀이 도구나 장소가 필요 없고, 다만 여러 명의 아이들이 자유롭게 뛸 수 있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놀이 방법]
1. 팔공 놀이의 놀이 방법 및 순서
1) 아이들이 편을 가른 후, 아래와 같은 그림을 그린다[A와 B, ‘가’와 ‘나’는 편의상 붙인 이름].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2) ‘가’와 ‘나’에서 집을 지키는 아이만 남고 나머지는 외발뛰기로 나온다.
3) 외발뛰기를 한 채로 상대방을 밀쳐, 먼저 발을 놓은 쪽이 죽게 된다. 한 번 죽으면 1동의 승부가 끝날 때까지 살지 못한다.
4) ‘가’편이 외발뛰기로 ‘나’편을 다 이기고 나서 ‘가’편의 아이가 한 명이라도 ‘나’편의 진지에 들어가 까치방 B에 발을 놓으면 ‘가’편이 이기고 1동이 끝난다.
5) ‘가’편이 이긴 후 다시 시작할 때는 ‘나’ 진지의 입구에 빗금을 긋는다. ‘가’편은 거기에 발을 놓고 ‘나’의 군사와 싸울 수 있다.
2. 팔공 놀이의 규칙
1) 놀이가 시작되고 ‘가’편에서는 모두 밖으로 나왔는데 ‘나’편에서 안에 그대로 머물고 있으면, ‘가’편의 아이들은 뛰어다녀도 된다.
2) 서로 외발뛰기를 하다가 지치면 ‘가’편의 아이는 ‘나’편의 까치방 B에, ‘나’편의 아이는 ‘가’편의 까치방 A에 발을 놓고 쉴 수 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팔공 놀이와 유사한 놀이에는 진놀이가 있다. 이를 진뺏기라고도 한다. 두 패의 아이들이 전봇대나 큰 나무를 진터로 잡고 서로 상대편을 잡아 오거나 진을 빼앗는 편이 이기는 놀이이다. 이때 진과 진 사이는 보통 40m 내외이다.
[현황]
우리의 전통적인 민속놀이는 현재 급속한 도시화로 인한 생활 방식의 변화로 거의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가덕도 일대가 도시화되고 아이들의 놀이 환경이 변화되면서 팔공 놀이도 전승력이 약화되는 추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