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청십자병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657
한자 靑十字病院
영어의미역 Cheongsipja[Blue Cross] Hospital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춘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의료 기관
설립 시기/일시 1975년 8월 4일연표보기 - 설립
해체 시기/일시 1996년연표보기 - 폐원
최초 설립지 청십자병원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었던 청십자의료보험조합 직영 의료 기관.

[설립 목적]

청십자의료보험조합의 원활한 운영과 조합원들의 진료를 위한 직영 병원의 필요성 및 영세민 환자와 장애인의 치료를 위하여 청십자의료보험조합원과 기독교인의 모금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1975년 8월 4일 청십자의료보험조합의 직영 병원으로 출발한 청십자의원은 1976년 12월에 한국청십자복지회 소속으로 되었고, 1986년 청십자병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청십자병원은 1989년 청십자의료보험조합이 국민의료보험공단으로 귀속된 이후에도 운영을 계속하였지만, 1994년 일신기독병원에 매각되어 일신청십자의원의 이름으로 존속하다가 1996년 폐원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설립 당시 청십자의원은 대지 165㎡[50평]에 냉난방 시설이 완비된 현대식 4층 건물로, 부산기독의사회가 운영하던 결핵 진료소를 맡아 운영하였고, 복음병원에 있던 청십자의료보험조합 사무실도 옮겨오게 하였다. 청십자의원은 처음에는 외래 환자만 취급하였고, 입원 환자는 기존처럼 복음병원을 이용하였지만, 부산의 서남단 끝에 위치한 복음병원에 비하여 교통의 편리성으로 인해 점차 내원 환자가 증가하게 되었다. 특히 청십자의원은 한국청십자복지회에 소속된 영세민들을 위하여 1년에 한차례 무료 건강 검진을 받게 하였는데, 이러한 활동은 가난한 영세민의 건강을 지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현황]

1996년 폐원 이후 현재는 민간 병원인 청십자요양원이 운영되고 있으며, 주로 난치성 노인 환자의 호스피스 병원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청십자병원은 국민 건강 보험이 제대로 정착되지 못한 1970~1980년대 한국 사회의 상황에서 영세민과 장애인 및 조합원의 병을 치료하고, 무료 건강 검진을 통하여 참 의술을 실천했던 대표적인 병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