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조창섭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519
한자 趙昌燮
영어음역 Jo Changseop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종교인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구자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목사
성별
대표경력 목사|부산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위원장|부산환경운동연합 상임 의장
출생 시기/일시 1927년 8월 1일연표보기 - 출생
출가|서품 시기/일시 1980년 - 한국기독교장로회 전남노회에서 목사 안수받음
수학 시기/일시 1976~1980년 - 한국신학대학 재학
활동 시기/일시 1954년 - 거창고등학교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61~1970년 - 전라남도 장흥농업학교 교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70년 - 거창고등학교 교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80년 - 정농회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83~1986년 - 경상남도 남해군 무림교회에서 시무
활동 시기/일시 1982~1992년 - 「지상교회 주보」 발간
활동 시기/일시 1987년 - 한빛교회 부임
활동 시기/일시 1987년 -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 부산본부 집행 위원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89년 - 전국교직원노동조합후원회 공동 대표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92년 - 부산공해추방시민운동협의회 상임 의장, 부산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위원장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93~1994년 - 부산환경운동연합 초대 상임 의장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94 - 경상남도 물금으로 귀농
몰년 시기/일시 2007년 2월 25일연표보기 -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08년 2월 23일 - 1주기 추모 예배[민주 공원]
추모 시기/일시 2011년 6월 24일 - 부산민주통일기독인 추도 예배[중부교회]
출생지 조창섭 출생지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신월리 88
학교|수학지 한국신학대학 - 경기도 오산시 양산동 411
활동지 장흥농업학교 - 전라남도 장흥군
활동지 한빛교회 - 부산광역시 동래구 연산 5동 1297-31

[정의]

1980년대 부산광역시 동래구 한빛교회에서 활동한 진보적 종교인.

[활동 사항]

조창섭(趙昌燮)[1927~2007]은 1927년 8월 1일 전라남도 해남에서 독실한 크리스천 장로의 가정에서 태어났다. 부모는 전라남도 목포에서 활동하던 미국 남장로교회 선교사들의 전도로 기독교를 접하고 당시 신월교회[현 북일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하였다. 독실한 기독교 가정의 신앙적인 분위기 속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조창섭은 일제 강점기 말에 일본으로 유학을 다녀온 후 신사 참배 문제로 학업을 중단하였다.

조창섭은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노르웨이 병원 부대에서 통역으로 종군하였다. 1954년 민족 교육의 산실 거창고등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며, 미국에 유학 중이던 매형 전영창을 거창고등학교 교장으로 초빙하여 자율적인 교육과 민족 교육의 산실을 만들기 위해 헌신하였다.

1961년 전라남도 장흥농업학교에 교감으로 부임하여 농촌 인재를 양성하였고, 해남군 북평면 신월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하였다. 1970년 다시 거창고등학교에 부임하여 재직하면서 가지리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하였다. 1976년 한국신학대학 목회자 양성 통신 신학대학을 졸업한 뒤 한국신학대학 4학년에 편입하여 1980년 졸업하고 전남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이후 풀무원의 효시인 원경선(元敬善)과 함께 우리나라 최초의 환경 농업 단체 ‘정농회’를 만들어 활동하였다. 1983년 경상남도 남해군의 ‘무림교회’에 부임하여 목회 활동을 재개하였다. 1980년 5·18 민주화 운동 이후 목회자의 양심으로 내내 괴로워하다가, 1982~1992년 기독교적 사회 정의와 사회 구원을 외치는 『지상교회 주보』를 발간하여 군사 정권을 비판하기 시작하였다.

1987년 부산광역시 동래구 연산동에 있는 한빛교회에 부임하여 부산 지역의 진보적인 기독 청년 운동을 지원하였다. 1987년 6월 민주 항쟁 기간에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 부산본부 집행 위원으로 활동하였고, 1989년에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후원회 공동 대표를 역임하였다. 1992년 부산공해추방시민운동협의회[부산환경운동연합의 전신] 상임 의장, 부산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1993년 부산공해추방시민운동협의회 해산 및 부산환경운동연합 결성 준비 위원장, 1993~1994년 부산환경운동연합 초대 상임 의장으로 활동하면서 부산의 환경 운동 및 민주화 운동의 역사와 궤를 같이하였다. 이 외에도 전국교직원노동조합후원회 공동 대표, 주거권 실현을 위한 부산 시민 연합 고문, 도시빈민사회복지선교회 고문 등을 맡으며 교회의 사회 구원에 온 힘을 다해 봉사하였다. 1994년 경상남도 물금으로 귀농하였다가 2007년 2월 25일 소천하였다.

[사상과 저술]

『지상교회 주보』[1982~1992]가 있다.

[묘소]

전라남도 강진군 한양 조씨(漢陽趙氏) 문중 납골당에 묻혔다.

[상훈과 추모]

2008년 2월 23일 부산 민주 공원에서 제1기 추모 예배가 개최되었고, 2011년 6월 24일 부산 중부교회에서 부산 민주 통일 기독인 추도 예배가 열렸다.

[참고문헌]
  • 한빛공동체(cafe.naver.com/sanpapa1)
  • 인터뷰(한빛교회 전도사 최경호, 2011. 10. 6)
  • 인터뷰(조창섭의 장남 조헌주, 2011. 10. 7)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