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조르자 조르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505
영어의미역 Pestering, Pestering
이칭/별칭 「조루자 조루자」,「모찌기 소리」,「모찌기 노래」,「등지」,「모찌는 소리」,「모찌는 노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수영구 수영동|기장군 일광면|기장군 장안읍
집필자 류경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노동요
기능구분 농업 노동요|모찌기 소리
형식구분 남녀 교환창|독창
가창자/시연자 김일분[여, 74]|박임이[여, 77]|최남시[여, 72]|도태일[남, 76]|서옥련[여, 64]|남일순[여, 90]
채록 시기/일시 1991년 1월 30일 - 김일분[여, 74]·박임이[여, 77]
채록 시기/일시 1997년 1월 18일 - 최남시[여, 72]
채록 시기/일시 1999년 7월 22일 - 도태일[남, 76]·서옥련[여, 64]
채록 시기/일시 2002년 5월 19일 - 남일순[여, 90]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12월 10일 - 김승찬·박경수·황경숙 공저, 『부산 민요 집성』에 수록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0년 2월 28일 - 류종목 저, 『현장에서 조사한 구비 전승 민요』-부산편에 수록
채록지 천성 마을 -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
채록지 청광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채록지 수영 고적 민속 예술 보존 협회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229-1지도보기
채록지 효암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 수영구 수영동, 기장군 일광면·장안읍 등지에서 모찌기를 할 때 부르는 노동요.

[개설]

「조르자 조르자」부산광역시 지역에서 모를 심기 전 모판에 있는 모를 뽑아 모를 심기 좋게 단으로 묶으면서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이를 「조루자 조루자」, 「모찌기 소리」, 「모찌기 노래」, 「등지」, 「모찌는 소리」, 「모찌는 노래」 등이라고도 한다.

[채록/수집 상황]

2002년 김승찬·박경수·황경숙 등이 집필하고 세종출판사에서 간행한 『부산 민요 집성』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91년 1월 30일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 천성 마을 주민 김일분[여, 74]과 박임이[여, 77], 1997년 1월 18일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청광리 주민 최남시[여, 72], 2002년 5월 19일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효암리 주민 남일순[여, 90]으로부터 각각 채록한 것이다.

또한 2010년 류종목이 집필하고 민속원에서 간행한 『현장에서 조사한 구비 전승 민요』-부산편에도 실려 있다. 이는 1999년 7월 22일 동아대학교 조사팀이 수영구 수영 고적 민속 예술 보존 협회를 방문하여 도태일[남, 76]과 서옥련[여, 64] 등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이외에도 김사엽·최상수·방종현이 집필한 『조선 민요 집성』을 비롯하여 『군봉 6호』와 『기장군지』 등에도 부산 지역의 민요가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조르자 조르자」는 일반적으로는 남녀 교환창으로 불린다. 교환창은 두 팀으로 나뉘어 부르는데, 의미가 있는 앞 사설을 한 팀이 부르고 나면, 다른 한 팀이 받아서 의미가 있는 뒤 사설을 부른다. 「조르자 조르자」는 모를 찌는 동작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모심기 소리에 비해서는 다소 빠른 가락으로 부른다.

[내용]

모판이 빨리 줄어들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힘을 합쳐 빨리 모를 쪄 내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제보자에 따라 노래 사설의 내용이나 노래의 길이에 약간씩의 차이가 있다. 대표적인 사설은 다음과 같다.

“조루자 조루자 이못자리를 조루자/ 조루자 조루자 각기장판을 조루자”[남일순의 노래].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한 해의 논농사는 4월 무렵에 논의 한 부분에다 볍씨를 뿌려서 못자리를 만드는 것으로 시작한다. 6월 무렵에 모판에서 일정하게 자란 모를 뽑아서 넓은 논으로 옮겨 심게 되는데, 모를 뽑을 때 부르는 노래가 바로 「조르자 조르자」이다. 모찌기는 주로 공동 작업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부르는 「조르자 조르자」는 힘든 노동의 괴로움을 덜어 주는 동시에 공동체를 하나로 결속시켜 주는 역할을 하였다.

[현황]

사람들의 손에 의지하여 모찌기를 하던 당시에 부르던 「조르자 조르자」는 일반적으로 남녀 교환창으로 불렀다. 그러나 오늘날은 노동의 현장을 벗어나 작위적 공간에서 채록을 하다 보니 교환창으로 불리기보다는 독창으로 불리는 경우가 더 많다.

[의의와 평가]

「조르자 조르자」는 모찌기 소리로서 영남 지역 일대에 분포하는 노래이다. 부산 지역에서도 역시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모찌기의 현장에서 애창되고 있다. 모찌기라는 노동의 동작과 노랫말이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노래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