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6436 |
---|---|
한자 | 萇山上山麻姑堂堂山祭 |
영어의미역 | Dangsan Shrine Ritual at Sangsangmagodang in Jangsan |
이칭/별칭 | 장산 고당 할매 제사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제 |
지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
집필자 | 정은영 |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등의 6개 마을에서 전염병 예방 및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장산 상산마고당 당산제는 해운대[좌동·중동·우동]의 운촌 마을, 중동 마을, 미포 마을, 장지 마을, 오산 마을, 좌동 마을 등 6개 마을이 돌아가며 매년 1월 3일과 6월 3일의 자정에 해운대구 우동 산148-1번지에 있는 상산마고당(上山麻姑堂)에서 정월에는 전염병 예방과 마을의 안녕, 그리고 6월에는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장산 고당 할매 제사’라고도 한다.
[연원 및 변천]
『동래부 동하면 고문서』에 따르면 1714년 동하면민이 기우제를 지낸 것을 시작으로 마고 할매를 모신 제당을 세웠으며, 이때부터 풍농(豊農)과 풍어(豊漁), 질병 예방을 위해 정월과 6월에 당제를 모셨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1924년 하삼동(下三洞)[해운대구 좌동, 중동, 우동]의 6개 마을 사람들이 신당을 중건하여 지금까지 당산제를 지내고 있다. 상산마고당에서는 일 년에 두 차례 제사를 지냈는데, 정월에는 전염병 예방과 6개 마을의 안녕을 목적으로, 6월에는 풍해(風害)·충해(蟲害)·병해(病害) 등이 없는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당제를 지냈다고 한다.
[신당/신체의 형태]
상산마고당은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폭포사 근처에 있고, 건물 면적은 4㎡이며 동남쪽을 향해 있다. 신당은 기와지붕으로는 가장 간결한 맞배지붕이며, 붉은 벽돌로 쌓은 벽이 둘러 있다. 제당 앞에는 ‘상산마고당(上山麻姑堂)’이라는 현판이 있고, 제당 안에는 화강석으로 된 제단이 마련되어 있다. 제단에는 ‘장산마고영신신위(萇山麻姑靈神神位)’라고 쓰인 위패와 촛대, 향로 그리고 정화수와 향로 과일을 담는 그릇이 있다. 상산마고당에서 서북쪽으로 200m 떨어진 곳에는 천제단(天祭壇)이 있다. 가로 320㎝, 세로 190㎝, 높이 80㎝의 너럭바위 위에 3개의 입석이 나란히 얹혀 있고, 그 아래 동동북쪽을 향해 제단이 놓여 있다. 3개의 입상은 각각 천지인(天地人)을 상징한다고 한다.
[절차]
당제를 하기 10일 전에 제의를 주관하는 마을에서는 제관 1명과 제관을 도와 제물을 운반하는 사람 1명을 선정한다. 제의의 순서는 먼저 천제단에서 천신과 산신에게 제사를 올리고, 그 후에 상산마고당에서 당산제를 올린다. 천제단에서는 조리하지 않은 생 쇠머리와 과일, 막걸리를 자정을 기해 올린다. 상산마고당에서는 천제단에서 사용한 생 쇠머리를 삶아서 얹고 나물, 과일, 막걸리 등을 진설하여 일반 가정의 기제사와 같은 순서로 제의를 진행한다. 제의가 끝나면 사방에 술을 뿌리고 음복을 한다. 마지막으로 마을 입구에서 거릿대제를 마친다.
[현황]
1995년 1월 장산신당보존관리위원회가 창립되어 장산 고당 할매 제사의 경비를 부담하고 있는데, 제의는 폭포사에서 대행하고 있으며, 제관도 폭포사 주지가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