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6392 |
---|---|
한자 | 人民委員會釜山支部 |
영어의미역 | Busan Branch of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
분야 | 역사/근현대,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철규 |
[정의]
광복 직후 부산 지역에서 설립된 민간 자치 기구.
[설립 목적]
인민위원회 부산지부는 조선인민공화국의 정강과 시정 방침을 전폭적으로 지지하며, 새로운 국가 건설이라는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조직된 단체이다.
[변천]
1945년 10월 7일 오전 강대홍(姜大洪), 김칠성(金七星) 외 70여 명이 부산시 인민위원회를 조직하기 위하여 준비 대회를 경상남도 인민위원회 회관에서 개최하였다. 이 자리에서 부산시 인민위원회 결성 준비 위원을 선출하고 이들에게 결성 준비에 관한 것을 일임하기로 결정하였다. 준비 위원은 각 지역·직장별로 김칠성 외 115명으로 구성되었다. 10월 17일 소화관에서 부산시 인민위원회 결성 대회를 개최하였다.
인민위원회 부산지부는 창립 초기에 전형 위원을 김락종(金絡鍾)[영도], 김홍태(金弘泰)[초량], 김민휴(金敏休)[서부], 백정봉(白正鳳)[아미동], 윤명룡(尹命龍)[동래], 문고려(文高呂)[시가지], 양달석(梁達錫)[서면], 이성줄(李聖茁)[부산진] 등의 8명으로 결정하고 인민위원회 지도부 선출에 들어갔다. 그리하여 위원장 강대홍, 부위원장 김칠성, 감찰부장 김락종이 선임되었으나, 그 외의 부서와 간부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인민위원회 부산지부는 결성 이후 부산의 치안 유지, 행정권 장악 등의 활동을 하였다. 이러한 활동들이 미군정과 갈등을 겪게 되자, 1946년 2월 ‘자주 독립은 민주민족 전선의 통일’이라는 입장을 발표하기도 하는 등 민주주의민족전선 산하의 여러 단체와 연합하여 미군정에 대항하여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의의와 평가]
인민위원회 부산지부는 설립 초기 부산 지역 내에서 치안과 행정권을 장악하였다. 그러나 미군정은 인민위원회를 불법 단체로 규정하고 우익 단체와 함께 탄압하기도 하였다. 민전 조직 이후 이 단체는 부산 지역 내의 여러 단체와 함께 민족 통일 전선 운동을 펼치기도 하였으나 큰 성과를 남기지 못하고 해체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