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동석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373
한자 李東碩
영어음역 Yi Dongseok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종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전시 기획자|미술 평론가
성별
대표관직|경력 부산광역시립미술관 학예 연구사
출생 시기/일시 1964년 10월 14일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82년 - 대입 검정고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991년 - 인하대학교 전자계산학과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94년 -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입학
활동 시기/일시 1996년 -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97년 - 『조선 일보』 신춘문예 당선
활동 시기/일시 1997~2004년 - 부산광역시립미술관 학예사로 재직
몰년 시기/일시 2004년 1월 9일연표보기 -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04년 - 이동석추모사업회 창립
추모 시기/일시 2005년 - 1주기 추모전 개최
추모 시기/일시 2005년 - 유고집 『이동석-큐레이터 이동석이 남긴 글』 발행
추모 시기/일시 2008년 - ‘이동석 전시 기획상’ 제정
출생지 이동석 출생지 - 경상남도 마산시
거주|이주지 이동석 거주지 - 경상남도 통영시
거주|이주지 이동석 거주지 - 부산광역시
수학|수학지 통영초등학교 - 경상남도 통영시
수학|수학지 통영중학교 - 경상남도 통영시
수학|수학지 마산중앙고등학교 - 경상남도 마산시
수학|수학지 인하대학교 - 인천광역시 남구 인하로 100
수학|수학지 홍익대학교 - 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 94
묘소|단소 석계 공원 묘원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외석리 산8-1

[정의]

1997년부터 부산에서 활동한 전시 기획자이자 미술 평론가.

[활동 사항]

이동석(李東碩)[1964~2004]은 1964년 10월 14일 경상남도 마산에서 출생하여, 통영초등학교와 통영중학교를 졸업하였다. 마산중앙고등학교에 입학하여 2학년 때 자퇴하였고, 1982년 대입 검정고시에 합격하여 고등학교 졸업 자격을 취득하였다. 1991년 인하대학교 전자계산학과를 졸업한 뒤 기업에서 근무하였다. 1994년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에 입학하여 1996년에 졸업하였고, 이듬해인 1997년 『조선 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었다. 이해 10월에 부산광역시립미술관의 개관과 함께 학예 연구사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부산광역시립미술관에서 ‘미디어와 사이트’, ‘한국 단색 회화의 이념과 정신’, ‘영화와 미술’, ‘도시와 미술-부산의 시간과 공간’, ‘그리드를 넘어서’, ‘센스 & 센스빌리티’ 등의 전시를 기획하였다. 부산광역시립미술관에 재직하는 동안 형편이 어려운 작가들의 전시 서문을 무료로 즐겨 써 주었다. 지역 미술의 현황을 파악하고, 지역 작가들을 발굴하여 서울로 끌어올리는 일에도 열심이었다. 이러한 일은 지역을 넘어 폭넓은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한 것으로, 한 사람의 평론가로서 대단한 역할을 한 셈이다.

1999년 이동석은 대안 공간 ‘’의 탄생에 적극적으로 앞장섰다. 이동석이 심혈을 쏟은 ‘’은 1980년대 사인 화랑의 뒤를 이어 부산 미술계 제2의 대안 공간으로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한편으로는 포럼a와 미술평론가협회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특히 이동석은 건강한 비판, 비평적 작가 조명, 비주류의 역량 키우기 등을 지향점으로 삼아 미술과 관객의 지평을 넓힘으로써 ‘미술은 있되 담론은 부족한’ 부산 미술계에 자극제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2004년 1월 9일 과로가 겹쳐 뇌출혈로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1996년 석사 학위 논문 「시각 매체에 있어 테크놀로지의 문제」와 1997년 『조선 일보』 신춘문예 미술 비평 부문 당선작 「시각의 시대와 전자 테크놀로지의 오로라」가 있다. 이 외에 50여 명에 달하는 작가를 조명한 작가론, 자신이 기획한 미술관 기획전에 부친 서문, 미술 잡지나 전문 매체에 발표한 논문과 비평, 10여 편의 시와 서너 편의 소설, 칼럼 및 수필 등을 저술하였다. 이는 사후에 간행된 『이동석-큐레이터 이동석이 남긴 글』[비온후, 2005]에 담겨 있다.

[묘소]

경상남도 양산시의 석계 공원 묘원에 안장되었다.

[상훈과 추모]

2004년 이동석추모사업회[회장 김정명]가 설립되어, 2005년 1주기 추모전을 개최하고 유고집 『이동석-큐레이터 이동석이 남긴 글』을 발행하였다. 그리고 2008년 ‘이동석 전시 기획상’이 제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