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경현 뇌 손상 사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372
한자 李慶賢腦損傷事件
영어의미역 Scandal of Yi Gyeonghyeon’s Brain Damage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 1-26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오재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위대 폭행 사건
관련인물/단체 이경현
발생|시작 시기/일시 1989년 4월 12일연표보기 - 백골단 폭력으로 이경현 부상
종결 시기/일시 2007년 - 이경현에게 부산교육대학 명예 졸업장 수여
발단 시기/일시 1989년 1월 - 전국교사협의회에서 교원노동조합 결성을 선언
전개 시기/일시 1989년 4월 22일 - 이경현 사건에 대한 진상 보고 및 폭력 경찰 규탄 범시민대회 개최
전개 시기/일시 1989년 5월 28일 -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발족
전개 시기/일시 1996년 - 이경현 가족 부산지방법원에 국가를 상대로 소송 제기
전개 시기/일시 2000년 - 이경현 후원회 ‘참빛교육사업회’ 결성
발생|시작 장소 부산교육대학교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 1-263지도보기

[정의]

1989년 부산교육대학교에 난입한 백골단의 학생 폭행 사건.

[역사적 배경]

1989년은 문익환 목사의 방북 이후 공안 탄압이 극심해 지던 시기로, 학내외의 시위를 진압하는 경찰의 폭력성이 더욱 강화되었다. 이 가운데 선두에서 폭력 진압을 주도하던 경찰 특공대는 흰 헬멧을 쓴 탓에 ‘백골단’이라 불리었는데, 이들은 시위대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맹렬하게 폭력을 행사하였다. 이 무렵 교육 현장에서도 민주화의 움직임이 싹트기 시작했는데, 이는 교육법 개정을 통한 참교육의 실현을 목표로 전개되었다. 이를 위해 1989년 1월 전국교사협의회에서는 교원노동조합을 결성할 것을 선언하였다.

[경과]

1989년 4월 12일 부산교육대학에서는 교육 민주화를 위한 전국적인 움직임에 호응하는 ‘참교육 실현을 위한 한새인 결의 대회’를 개최하였다. 대회를 마친 후 학생들이 마무리 정리 작업을 하고 있던 5시 50분경 갑자기 전투 경찰이 부산교육대학 교문 앞으로 돌격하였다. 이 가운데 60여 명으로 구성된 백골단 체포조가 선두에서 돌을 던지며 학교 안으로 진입하였다. 놀란 학생들이 황망히 기숙사 부속 학교, 소운동장, 학생 회관 쪽으로 도피했는데, 이 과정에서 대열 후미에서 뛰고 있던 이경현[윤리교육과 4학년]이 넘어져 백골단에 둘러싸이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후 전경들이 이경현을 연행하려고 들어 올렸을 때 이경현의 몸이 축 늘어지면서 머리에서 피가 흘렀다. 목격자에 따르면 쓰러진 이경현을 백골단 4~5명이 둘러싸고 방패로 내리쳤다고 한다. 이경현을 목격한 이종완 조교가 급히 뛰어들었으나 접근하기도 전에 그 역시 또 다른 체포조에게 머리와 전신을 구타당하면서 연행되었다. 경찰이 퇴거한 후에야 박상도[교육과 4학년] 등이 이경현을 학교 양호실에서 응급조치한 후 부산의료원으로 옮겼으나, 심각한 뇌 손상을 입고 중태에 빠졌다.

[결과]

이경현 사건 이후 경찰은 백골단의 폭행을 부인하였다. 4월 22일 이 사건에 대한 진상 보고 및 폭력 경찰 규탄 범시민대회를 벌이던 중에 격분한 진보정치연합 임윤선이 경찰의 과잉 진압에 항의하며 분신을 기도해 온 몸에 화상을 입고 중태에 빠지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경현 사건이 있은 지 한 달 만인 5월 28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발족하였으며, 6월 19일 전교조 부산 지부가 출범하였지만, 이경현은 23년째 신체 마비와 정신 장애로 투병 중이다.

이경현의 가족은 지난 1996년 부산지방법원에 국가를 상대로 하는 소송을 제기하여 일부 승소[7,600여 만 원 배상] 판결을 받았다. 2000년에는 부산교육대학의 동기와 선·후배 등으로 구성된 이경현 후원회인 ‘참빛교육사업회’가 결성되었다. 참빛교육사업회는 2004년부터 대학 측에 명예 졸업장 수여를 요구하였다. 이에 대학 측은 학칙 수정 과정을 거치고 전체 교수회의 의결 절차를 통해 2007년 이경현에게 부산교육대학 명예 졸업장을 수여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경현 뇌 손상 사건은 공안 정국의 폭력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특히 1980년대 후반 민주화 과정에서 발생한 학생들의 희생이 개인적인 비극을 넘어 사회적인 이슈가 되면서 한국의 반(反)인권적 상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으로 평가된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