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 논배미 모를 심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369
영어의미역 Planting Young Rice Plants on the Stirip of Paddy Field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해운대구 반송2동|강서구 지사동|기장군 장안읍
집필자 조수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노동요
기능구분 농업 노동요
형식구분 독창
가창자/시연자 전을순[여, 79]|박정숙[여, 74]|김남선[여, 56]|남일순[여, 90]
채록 시기/일시 1993년 7월 13일 - 전을순[여, 79]
채록 시기/일시 1996년 6월 8일 - 박정숙[여, 74]
채록 시기/일시 1992년 1월 3일 - 김남선[여, 56]
채록 시기/일시 2002년 5월 19일 - 남일순[여, 90]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12월 10일 - 김승찬·박경수·황경숙 공저, 『부산 민요 집성』에 수록
채록지 두구동 -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지도보기
채록지 채록지 - 반송2동
채록지 채록지 - 지사동
채록지 채록지 - 효암리
가창권역 금정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지도보기
가창권역 해운대구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2동
가창권역 강서구 -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지도보기
가창권역 장안읍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효암리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해운대구 반송2동, 강서구 지사동, 기장군 장안읍 등지에서 논에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노동요.

[개설]

「이 논배미 모를 심어」는 모를 못자리에서 논으로 옮겨 심는 과정에 주로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즉 모를 찌는 작업 후 논에서 모내기를 할 때 흥을 돋우고 힘든 것을 잊기 위하여 부르는 노래이다.

[채록/수집 상황]

2002년 김승찬·박경수·황경숙 등이 집필하고 세종출판사에서 간행한 『부산 민요 집성』에 실려 있다. 이는 1993년 7월 13일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에서 주민 전을순[여, 79], 1996년 6월 8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2동에서 주민 박정숙[여, 74], 1992년 1월 3일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에서 주민 김남선[여, 56], 2002년 5월 19일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효암리에서 주민 남일순[여, 90]으로부터 각각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이 논배미 모를 심어」는 모를 심고 난 후 풍년이 들면 수확을 한 뒤 누릴 영화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독창으로 부른다.

[내용]

이 논빼미/ 모를 심어/ 금실금실/ 영화로다/ 우리 부모/ 산소등에/ 솔을 심어/ 영화로다.

이 논빼미/ 모를 숨가/ 잎이 넓어/ 장할래라/ 우리야 부모님/ 산소등에/ 솔을 숨가/ 정자로다.

이 논빼미에다가/ 모를 심어/ 금실금실/ 영화로다/ 우리 형지/ 팔 형지는/ 갓을 씨워/ 영화로다.

우리야 형제/ 팔 형제에/ 갓을 씌아서/ 영화로다/ 우리야 부모님/ 산소등에/ 솔을 숭가서/ 정자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모심기는 못자리에서 기른 모를 논에 옮겨 심는 일을 말하는데, 모내기라고도 한다. 모내기를 할 때는 먼저 논을 가로질러 못줄을 하나나 두 개 치고 많은 사람들이 줄을 따라 늘어선다. 다음에 못줄에 맞춰 일정한 간격으로 모를 심어 나간다. 일단 모심기를 시작하면 일정한 속도에 맞춰서 동시에 모를 심어야 한다. 따라서 모심기를 할 때에 「이 논배미 모를 심어」를 불러 함께 일하는 사람들 간의 손을 맞추었다.

[현황]

농업 사회였던 옛날에는 논이나 밭에서 일하면서 부르는 노동요가 많았다. 현대에는 산업화의 영향으로 부산 시내에서 농사를 짓는 사람이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작업이 기계화 되어서 「이 논배미 모를 심어」를 부르는 경우가 거의 없다. 이에 국가에서 또는 각 지역에서 무형 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과 전승에 힘쓰고 있는 형편이지만 일부 유명한 몇몇 노래를 제외한 「이 논배미 모를 심어」와 같은 노래는 제대로 전승되지 못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에서는 강서구, 금정구, 기장군 등지에 「이 논배미 모를 심어」와 같은 모심기 노래가 많이 불리고 있는데, 이는 이 지역에서 논농사가 성행했다는 것을 알려 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