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309
한자 龍雲
영어음역 Yongwoon
이칭/별칭 김상우(金祥祐)
분야 종교/불교,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종교인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윤소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승려
성별
대표경력 부산불교어산회 강사|부산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1호
출생 시기/일시 1895년 9월 19일연표보기 - 출생
몰년 시기/일시 1972년연표보기 - 입적
출생지 용운 출생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학교|수학지 범어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활동지 국청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산25-1지도보기

[정의]

현대 범음 범패로 부산광역시 무형 문화재 1호였던 범어사 출신의 승려.

[활동 사항]

용운(龍雲)[1895~1972]은 속명이 김상우(金祥祐)이다. 부산 팔송정 노포에서 태어났다. 범어사 대산 스님의 상좌로 출가하였다. 지극한 기도 후에 관세음보살의 가피로 목이 트였다는 일화가 있다. 시력이 좋지 않아 경학(經學)에는 어려움이 있어 오로지 범성(梵聲)으로써 수행의 열정과 덕목을 완성하였다고 한다. 1960년대 범패(梵唄)를 가르치는 승려 가운데 최고인 보성(寶聲)이라는 칭송을 들었다고 한다.

당시 불음(佛音)을 찾아 전국을 다니던 동국대학교 홍윤식 교수가 1969년 금정산 국청사에서 용운의 소리를 녹음하였다. 이를 계기로 『조선 일보』를 비롯한 각종 언론에 영남 범패의 독특한 소리 세계와 용운의 성음(聲音)이 알려졌고, 1972년 한국 최초이자 부산 최초로 범패 문화재 보유자가 되었다. 부산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1호이다. 그러나 이듬해 입적한 탓에 후학을 잇지 못하여 문화재 지정이 해제되었다.

용운의 범패는 국립문화재연구소 희귀 음반 「영남 범패」에 다수 수록되어 있다. 이들 음원 중 제2음반 4~5트랙은 용운의 육성으로 각 소절을 설명하면서 노래하는데, 그 음성이 부드러우면서도 낮은 저음에 웅장함이 깃들어 있다.

[사상과 저술]

「국립문화재연구소 희귀 음반 영남 범패」[국립문화재연구소, 2007]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