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싸이판 놀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141
영어의미역 Saipan Game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국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속놀이|일상 놀이|어린이 놀이
노는시기 특정한 시기 없음
놀이 장소 공터 -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 천성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 천성 마을에서 어린이들이 땅에 그림을 그려 놓고 겨루는 놀이.

[개설]

싸이판 놀이는 땅에 놀이판을 그리고 편을 가른 어린이들이 칸을 건너가려고 하거나 이를 방해하는 것으로 겨루는 민속놀이이다. 싸이판 놀이는 서넛이 동아리를 지어 노는 상대 놀이로, 아니면 수십 명 등이 노는 집단 놀이로도 할 수 있어 인원수의 제약을 적게 받는 놀이이다.

[연원]

싸이판 놀이의 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오래전부터 전승되던 놀이에 ‘싸이판’이란 말이 첨가되었으리라고 본다. ‘싸이판(Saipan)’은 서태평양의 섬나라로 우리와는 멀리 떨어져 있어서 역사적·지리적으로 연관이 없는 나라이다. 다만 1920년대에 일본의 위임 통치 하에 있다가 1944년에서야 미군에 의해 점령된 점으로 볼 때, 우리와는 비슷한 시기에 일제 강점 아래에 있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천성동 아이들의 놀이에 ‘싸이판’이라는 말이 첨가된 때는 일제 강점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겠다.

[놀이 도구 및 장소]

싸이판 놀이에 필요한 도구는 없으며, 서로 잡고 잡히며 놀만한 공간인 공터가 필요하다.

[놀이 방법]

1. 싸이판 놀이의 순서와 방법

1) 땅에 다음과 같은 그림을 그린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2) 가위바위보를 하여 진 편이 빗금에 1명 씩 들어간다.

3) 놀이가 시작되면 이긴 편의 아이들은 A에서 B와 C를 거쳐 D로 가려고 하고, 진 편의 아이들은 건너가지 못하게 막는다.

4) 이긴 편의 아이 한 명이라도 방해를 물리치고 D로 갔다가 다시 C와 B를 거쳐 A로 돌아가서 “싸이판”이라고 외치면 이기게 된다.

2. 싸이판 놀이의 규칙

1) 진 편의 아이의 손이 이긴 편 아이에게 가서 닿으면 그 아이는 죽는다.

2) 이긴 편의 아이가 A에서 B로 넘어갈 때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넘어가도 된다. 이때 한 발은 반드시 A칸 안에 두어야 한다. B와 C도 마찬가지이다.

3) 이긴 편의 아이들 중 빗금을 넘어가지 못할 때는 “보”라고 하면 상대편의 아이들 중 하나가 응해 주어 가위바위보를 한다. 이긴 편의 아이가 이기면 한 칸 넘어가고 지면 죽는다.

[현황]

싸이판 놀이는 현재도 저 연령층 아이들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으나, 집밖에서 많은 아이들이 모여서 노는 일이 드물기 때문에 예전에 비하면 활발하지 않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