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시집살이 노래」(2)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114
한자 媤-
영어의미역 Song of Keeping House in the Parent-in-law´s Hous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
집필자 홍혜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
기능구분 비기능요
형식구분 독창
가창자/시연자 한옥금[여, 69]
채록 시기/일시 1997년 1월 23일 - 김승찬·박경수·황경숙 등이 한옥금[여, 69]으로부터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12월 10일 - 김승찬·박경수·황경숙 공저, 『부산 민요 집성』에 수록
채록지 좌천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에서 부녀자들이 시집살이의 고달픔을 노래한 비기능요.

[채록/수집 상황]

2002년 김승찬·박경수·황경숙 등이 집필하고 세종출판사에서 간행한 『부산 민요 집성』에 실려 있다. 이는 공저자들이 1997년 1월 23일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한옥금[여, 69]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시집살이 노래」(2)는 독창으로 불린다. ‘진주 남강요’의 유형으로, 이미 시집간 사촌에게서 시집살이의 고달픔을 듣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형님온다 형님온다 부엌에로서 형님온다/ 형님마중 누가갈까 형님동생 내가가지/ 형님형님 사촌형님 시접살이 어떻더냐/ 애야애야 그말을마라 시접살이 개집살이/ 앞밭에는 고초를심어 뒷밭에는 당초를심어/ 고초당초가 맵다해도 시접살이가 더맵더라[후략].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시집살이 노래」(2)는 시집살이의 고달픔과 한을 소리한 노래로, 부산광역시 지역의 부녀자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삶의 고통을 자위하고 극복하려는 목적으로 불렀다. 일반적으로 여자들끼리 모여 노는 유희의 공간에서 불렸다.

[현황]

시집살이는 예나 지금이나 여성들에게 큰 부담을 안기는 대상이다. 그 때문에 「시집살이요」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불릴 수 있었고, 지금까지도 그 전승 명맥을 잇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시집살이 노래」(2)는 사촌 자매간의 대화 형태로 되어 있다. 시집살이의 어려움이 소박하고도 간결한 언어로 압축되어 폭넓은 공감을 일으킨다. 고통스러운 여인의 감정을 소박하게 표현하면서도 문학적 재치와 비유를 통해 작품성을 획득하고 있다는 점에 그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