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삼정승 육판서가 난 묘 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990
한자 三政丞六判書-墓-
영어의미역 Site of Tombs that Produced Three Prime Ministers and Six Ministers
이칭/별칭 「삼정승 육판서 난 묘 터」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집필자 곽지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설화|민담
주요등장인물 양반|도사|처녀|몸종
모티프유형 풍수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2년 7월 27일 - 김승찬·김경숙 등이 김종만[남, 70]으로부터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83년 12월 30일 - 『한국 구비 문학 대계』-경상남도 김해시·김해군편에 「삼정승 육판서 난 묘 터」라는 제목으로 수록
채록지 녹산면 송정리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서 묘 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삼정승 육판서가 난 묘 터」는 양반이 명당자리에 묫자리를 썼지만 집안이 몰락하였고, 도사의 도움으로 다시 관을 열고 학 세 마리와 비둘기 여섯 마리가 날아오른 다음에야 9명의 아들이 삼정승과 육판서가 되었다는 풍수담이다.

[채록/수집 상황]

1983년 12월 30일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 구비 문학 대계』-경상남도 김해시·김해군편에 「삼정승 육판서 난 묘 터」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82년 7월 27일 김승찬·김경숙 등이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구 경상남도 김해군 녹산면 송정리]으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김종만[남, 70]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내용]

옛날에 영의정까지 올랐던 한 양반이 자신의 할아버지의 묘를 쓸 자리를 찾아다니다가 삼정승 육판서가 날 자리를 발견하고 그 자리에 묘를 쓰기로 했다. 그런데 묘를 그 자리에 쓰고 나서부터 이상하게도 처와 아들을 비롯한 혈육들이 모두 죽어 나가기 시작했다. 결국 그 양반은 홀로 남아 예순의 노인이 되었다. 어쩌다 보니 세간도 모두 팔아 버리고 갈 곳이 없어진 양반은 할아버지의 묘 옆에다 여막을 짓고 몸종들의 도움을 받아 살고 있었다.

어느 날 한 도사가 그 묘 옆을 지나면서 혼잣말로 이상하다고 하는 것이었다. 양반은 그 도사를 붙잡아 그간의 사정을 이야기하며, 이 상황을 돌이킬 수 있는 방법이 없겠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도사는 날을 정해 묘를 열어 관을 꺼내 두면 돌소리가 날 것인데, 그러고 나서 학이 세 마리 날아가고 비둘기가 여섯 마리 날아오르기를 기다렸다가 하관을 해야 한다고 알려 주었다.

도사가 돌아간 뒤 양반은 그가 시키는 대로 따랐다. 그 후 양반의 몸종들이 어느 마을에 가서 집안이 기울어 시집을 가지 못하고 있던 양반 댁 처녀를 데려와 예순의 영감이 새장가를 들 수 있도록 해 주었다. 그리고 다음 해에 처녀에게 태기가 있었는데, 아들이 태어나고 그 다음 해부터는 계속해서 쌍둥이들이 연속으로 태어나 아들 아홉을 두었다. 그 양반은 아들 아홉이 각각 삼정승 육판서가 되는 것을 보고 백 살까지 살다가 죽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삼정승 육판서가 난 묘 터」의 주요 모티프는 ‘풍수’이다. 묏자리와 관련한 풍수 이야기는 민담의 중요 모티프이다. 명당에 집을 짓거나 묘를 쓰면 발복한다고 한다. 이는 명당자리에 묘를 쓰면 후손들이 잘 된다는 민중들의 믿음을 기반으로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명당자리에 묘를 썼어도 집안이 망하는 것은 과욕이나 실수 또는 의도적으로 지맥을 끊었기 때문이고, 집안이 다시 흥하는 것은 명당의 결함이나 미비점을 보완하여 명당의 효험을 되찾기 때문이다.

그런데 「삼정승 육판서가 난 묘 터」에서는 풍수담 중에서도 명당 파손담이 약한 명당 비보담(裨補談)이다. 비보(裨補) 이야기는 명당의 결함이나 미비점을 보완하여 복을 누리려는 적극적 의지의 표현이다. 「삼정승 육판서가 난 묘 터」에서는 학 세 마리와 비둘기 여섯 마리가 갇혀 있으니 집안이 망할 수밖에 없었고, 갇힌 학 세 마리와 비둘기 여섯 마리가 하늘을 날 수 있도록 보완하여 9명의 자식이 삼정승과 육판서가 될 수 있었다. 특히 여기서 날아오른 학과 비둘기는 각각 정1품 정승의 흉배에 수놓인 학, 정2품 판서의 흉배에 수놓인 금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