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제2공립심상소학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885
한자 釜山第-公立尋常小學校
영어의미역 Busan No. 2 Public Simsang Primary School
이칭/별칭 부산제2공립국민학교
분야 문화·교육/교육,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268번길 24[동대신동 1가 370-5]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이가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초등 교육 기관
인가 시기/일시 1912년 3월 - 부산거류민단립 부산제2심상소학교로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12년 4월 4일연표보기 - 부산거류민단립 부산제2심상소학교로 개교
폐교 시기/일시 1945년 8월 15일연표보기 - 폐교
이전 시기/일시 1929년 6월 15일 - 대신정에 신교사를 개축, 낙성
개칭 시기/일시 1941년 4월 1일연표보기 - 부산제2심상소학교에서 부산제2공립국민학교로 개칭
최초 설립지 부산제2심상소학교 -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 1가
주소 변경 이력 부산제2심상소학교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1가 370-5[구 부산부 대신정 377]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에 있었던 공립 일본인 교육 기관.

[변천]

부산제2공립심상소학교는 원래 심상고등소학교라는 이름으로 고등소학교 내에 존재하였다. 1912년 3월 부산상업전수학교가 대신리[현 부산광역시 서구 대신동] 신축 교사로 이전하자, 그 터로 분교하여 부산거류민단립 부산제2심상소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그리고 같은 해 4월 4일 개교하였다.

1914년 1월 6일 교육 칙어 등본 및 일본 다이쇼 천황 내외의 어진영(御眞影)을 하사받았다. 1929년 6월 15일에는 대신정 377번지에 신교사를 개축·낙성하여 이전하였고, 1930년 4월 1일 24학급으로 편성을 완료하였다. 1930년 12월 21일에는 쇼와 천황 내외의 어진영을 하사받았고, 1931년 4월에 부산 제1특별경제로 이관되었다. 1941년 4월 1일 부산제2공립국민학교로 개칭하였으며 1945년 8월 15일 일제의 패망으로 폐교되었다.

현재 확인할 수 있는 자료에 의하면 각 연도별 학생 수와 교원 수는 1912년 남학생 288명·여학생 280명, 1914년 남학생 333명·여학생 316명, 1920년 교원 14명·남학생 331명·여학생 337명, 1922년 교원 18명·남학생 389명·여학생 427명, 1923년 교원 17명·남학생 430명·여학생 422명, 1924년 교원 17명·남학생 439명·여학생 394명, 1926년 교원 16명·학생 812명, 1927년 교원 19명·남학생 496명·여학생 397명, 1930년 교원 26명·남학생 608명·여학생 589명, 1931년 교원 26명·남학생 633명·여학생 605명, 1932년 교원 25명·남학생 704명·여학생 640명, 1933년 교원 26명·남학생 730명·여학생 687명, 1934년 교원 26명·남학생 670명·여학생 674명, 1936년 교원 26명·남학생 681명·여학생 649명으로 집계된다.

[교육 활동]

부산제2공립심상소학교는 일본인 아동을 위한 초등 교육 기관이었다. 교조겸태랑(橋爪兼太郞)[1912~1914], 산전류장(山田類藏)[1914~1920], 중촌청차랑(中村晴次郞)[1920~1920, 제5소학교와 겸무], 석교겸길(石橋謙吉)[1920년 8월 7일 취임] 등의 인물들이 교장을 역임하였다.

[현황]

해방 후인 1946년 2월 28일에는 부산제2공립심상소학교 자리에 광신국민학교가 개교했으며 1962년 2월 1일 화랑국민학교가 되었다. 1996년 3월 1일 화랑초등학교로 개명한 이래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