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방귀 노래」(1)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666
영어의미역 Song of Fart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
집필자 곽지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유희요
기능구분 가창 유희요|비기능요
형식구분 독창
가창자/시연자 박명순[여, 76]
채록 시기/일시 1992년 1월 13일 - 박명순[여, 76]으로부터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12월 10일 - 김승찬·박경수·황경숙 공저, 『부산 민요 집성』에 수록
채록지 송정 마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지도보기
가창권역 송정동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 송정 마을에서 방귀를 소재로 하여 부르는 유희요.

[개설]

「방귀 노래」(1)는 소재 자체가 사람들에게 웃음을 가져다주는 방귀 소리를 희화적으로 부르는 가창 유희요[비기능요]이다.

[채록/수집 상황]

2002년 김승찬·박경수·황경숙 등이 집필하고 세종출판사에서 발행한 『부산 민요 집성』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92년 1월 13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 송정 마을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박명순[여, 76]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방귀 노래」(1)는 주로 독창으로 부른다.

[내용]

가씨나야 가씨나아/ 빵구똥똥 뀌지마라// 내일모레 너거신랑/ 봉채받아 짊어지고/ 보지동냥하러 온다.

[현황]

현재 전승되는 유희요는 대부분 놀이와 함께 전승되는 경우가 많다. 놀이와 함께 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불리는 「방귀 노래」(1)와 같은 경우는 일부 노인들 사이에서 전해지긴 하지만 점차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의의와 평가]

방귀를 뀌는 여인을 놀리는 「방귀 노래」(1)에는 일상의 순간순간을 놓치지 않고 노래로 불렀던 옛사람들의 풍류가 담겨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