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5636 |
---|---|
영어의미역 | Pull it and Shut up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면 월평리|해운대구 우1동 |
집필자 | 곽지숙 |
성격 | 민요|노동요 |
---|---|
기능구분 | 농업 노동요 |
형식구분 | 교환창|선후창 |
가창자/시연자 | 송아선[여, 88]|김두리[여, 79] |
채록 시기/일시 | 1997년 1월 9일 - 송아선[여, 88]으로부터 채록 |
채록 시기/일시 | 1999년 9월 18일 - 김상용·백경숙 등이 김두리[여, 79]로부터 채록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2년 12월 10일 - 김승찬·박경수·황경숙 공저, 『부산 민요 집성』에 수록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0년 2월 28일 - 류종목, 『현장에서 조사한 구비 전승 민요』-부산편에 수록 |
채록지 | 월평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면 월평리 |
채록지 | 지내 마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과 해운대구에서 모찌기를 하며 부르는 노동요.
[개설]
「밀쳐라 닥쳐라」는 모심기를 하기 위하여 모판에서 모를 한 모숨씩 뽑는 모찌기를 하면서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채록/수집 상황]
2002년 김승찬·박경수·황경숙 등이 집필하고 세종출판사에서 발행한 『부산 민요 집성』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97년 1월 9일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면 월평리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송아선[여, 88]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또한 2010년 류종목이 집필하고 민속원에서 간행한 『현장에서 조사한 구비 전승 민요』-부산편에 실려 있다. 이는 1999년 9월 18일 김상용·백경숙 등이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지내 마을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김두리[여, 79]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밀쳐라 닥쳐라」는 교환창 혹은 선후창으로 부르는 것이나, 채록 당시에는 독창으로 불렀다.
[내용]
1. 송아선의 「밀쳐라 닥쳐라」
밀치라 들치라/ 모두잡아 훌치소// 영해영천 초목에/ 호미손들 놀리소.
2. 김두리의 「밀쳐라 닥쳐라」
밀치라 닥치라/ 호미손을 놀리라// 영해영천 초목아/ 호미손을 놀리라.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모찌기란 모내기를 하기 전에 모판에서 모를 뽑아내는 일을 말한다. 모내기는 여러 사람들이 함께 오랜 시간 동안에 하는 일이지만 모찌기는 거칠고 재빠르게 해야 하는 일이라 작업이 산만했다. 따라서 노래를 부를 수 있는 분위기를 형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모심기 노래에 비하여 「밀쳐라 닥쳐라」와 같은 모찌기 노래는 드물게 전승되고 있다. 간혹 모심기 소리와 사설이 교류되기도 한다.
[현황]
모찌기 소리는 모내기를 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민요이다. 농업의 기계화로 인하여 「밀쳐라 닥쳐라」는 모심기 노래와 같이 현재는 전승이 많이 끊어졌지만 여전히 농촌의 어르신들을 중심으로 이따금 전승된다.
[의의와 평가]
모를 모판에서 들어내면서 부르는 「밀쳐라 닥쳐라」의 사설을 통해서 함께 일하는 사람들의 노동을 독려하는 농민들의 협동심을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