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 부산본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627
한자 民主憲法爭取國民運動釜山本部
영어의미역 Busan Branch of People's Movement's Foot in a Democratic Constitution
이칭/별칭 부산국본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고호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민 단체
설립 시기/일시 1987년 5월 20일연표보기 - 설립
최초 설립지 당감성당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 500-14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

[정의]

1987년 조직되어 부산 지역 6월 민주 항쟁의 구심적 역할을 한 조직.

[설립 목적]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 부산본부는 1987년 12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5공 정권의 실정과 체육관 선거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를 조직하여 대통령 직선제를 쟁취하고 민주화를 앞당기기 위해 시민 사회단체, 종교, 학생, 노동계, 야당 등 모든 민주 세력이 총결집하여 조직하였다.

[변천]

서울에서 국민운동을 주도할 전국 조직의 건설에 관한 논의가 한창이던 1987년 5월 20일 2시 부산 당감성당에서 부산민주시민협의회[약칭 부민협]와 종교계, 통일민주당, 학생, 노동자 100여 명이 모여 ‘호헌반대 민주헌법쟁취 범국민운동 부산본부’를 결성하였다. 철통같은 경찰의 봉쇄 때문에 모인 숫자는 비록 많지 않았지만 그 열기는 대단한 것이었다. 일주일 후인 27일에 서울에서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가 결성되자 전국적인 통일성을 기하기 위해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 부산본부’[약칭 ‘부산국본’]로 개칭하였다.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 부산본부의 조직은 원로급인 ‘고문’과 참가 단체 대표인 공동 대표 아래, 실질적인 최고 의결·집행 기구인 ‘상임집행위원회’를 두었다. 그 아래에 각 부문의 대표들인 집행 위원과 실무를 총괄하는 사무국을 두었다. 상임 대표는 최성묵(崔聖黙) 목사, 상임 집행 위원장은 노무현(盧武鉉) 전 대통령[당시 변호사], 공동 대표는 현역 국회 의원인 박찬종(朴燦鍾)과 문정수(文正秀)가 맡았다. 사무국장은 고호석이었다.

참가 단체는 한국교회사회선교협의회 부산지구협의회, 부산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부산지구기독청년협의회, 부산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천주교정의구현부산교구사제단, 영남지역목회자정의평화실천협의회, 부산민주시민협의회, 부산민주노동자투쟁위원회, 부산천주교사회운동협의회, 통일민주당 1·2·3·6지구당, 부산지역총학생회협의회 등이었다.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 부산본부는 6·29 선언 후 민주쟁취국민운동 부산본부로 개칭하여 노동 3권을 비롯한 한 차원 높은 민주 체제 구현을 위해 노력하였다. 하지만 12월의 대통령 선거에 김영삼(金泳三)과 김대중(金大中)이 단일화에 실패하고 동시 출마하면서 참여 단체와 개인의 입장에 따라 구심점을 잃고 분열하면서 해체되고 말았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 부산본부의 주요 사업은 6월 민주 항쟁의 주요 일정별 행사의 준비와 집행, 항쟁 관련 속보와 기관지 『민주 부산』의 발행, 연행자와 구속자의 지원 활동, 주요 현안에 대한 성명서 발표 등을 통한 여론 조성 등이었다. 이런 활동은 6·29 선언 이후 1987년 노동자 대투쟁을 지원하는 활동으로 이어졌다.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 부산본부 사무실에서는 노동조합의 설립이나 노조 민주화를 위한 상담이 밤늦게까지 진행되었고, 대규모 쟁의 현장에는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 부산본부의 대표단이 직접 방문하기도 하였다. 거제도 대우조선 쟁의에는 상임 집행 위원장인 노무현 전 대통령이 학생 풍물패와 함께 지원 활동을 하다가 구속되기도 하였다.

[의의와 평가]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 부산본부는 지역 내 각계각층과 부문 운동의 역량을 망라하고 효율적으로 조정 배치함으로써, 부산 지역의 6월 민주 항쟁이 시민들의 광범하고 적극적인 참여 속에 전개되는 데 기여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결속력을 7·8월 노동자 대투쟁을 지원하는 데까지 이어나간 점은 다른 지역에서 찾아보기 힘든 사례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