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5614 |
---|---|
한자 | 民族自主統一中央協議會統一方案審議委員會 |
영어의미역 | Unification Plan Review Committee of National Council for National Independence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종세 |
[정의]
1961년 2월 25일 설립된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 부설 통일 방안 연구 기관.
[설립 목적]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 통일방안심의위원회는 한국 사회의 진보적이고 양심적인 지식인을 대표하는 이들로 통일 방안 심의 위원을 구성하여, 다양한 통일 방안을 광범하게 논의하고 총의를 모아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의 통일론을 정립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변천]
1961년 2월 25일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가 창립되면서 통일방안심의위원회가 설치되었다. 통일 방안 심의 위원은 조윤제, 주홍모, 노정일, 권오돈, 임창순, 정석해, 박희성, 박래원, 나원환, 정순종(鄭淳鍾), 박진, 이종률(李種律), 유병묵, 문희중, 유한종, 윤성식, 권대복, 함석희, 정형모, 이종신 등 양심적이고 진보적인 지식인과 정치인이 총망라되었다. 이 가운데 성균관대학교 교수이자 한국교수협회 회장인 조윤제가 위원장으로 선임되었다. 1961년 5·16 쿠데타로 집권한 군부 세력이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를 이적 단체로 규정하고 주요 간부를 군사 법정에 회부하면서,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 통일방안심의위원회의 활동도 중단되었다. 1961년 12월 11일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 통일방안심의위원회 위원 가운데 조윤제, 이종률은 ‘민족자주통일방안심의위원회 사건’으로 법정에 회부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 통일방안심의위원회의 주요 활동은 남북 협상 통일론, 중립화 통일론, 선건설(先建設) 후통일(後統一)론 등 당시의 주요 정당 사회단체에서 제기된 다양한 통일론을 검토하는 것이었다. 심의 위원 대부분은 남북 협상 통일론 또는 중립화 통일론을 지지하고, 2공화국의 장면(張勉) 정권이 내세운 선건설 후통일론에 비판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심의 위원 가운데 부산 출신으로는 부산대학교 교수이자 민족건양회(民族建揚會)의 중심인물로서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의 창립을 주도한 이종률, 경남노인회의 중심인물로 민족자주통일경남협의회의 상임 의장인 정순종이 참여하였다.
이들은 부산 지역에서 활발하게 전개된 통일 운동을 기반으로, 심의 위원회 내에서 남북 협상 통일론자를 대변하여 활동하였다. 3월 하순부터 거듭된 논의의 결과 위원회는 1961년 5월 2일 6차 회의 끝에 “민족 자주적인 입장에서 국제 협조 하의 중립 통일을 기한다.”라는 통일론을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 상무 위원회에 제출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통일 방안 심의 위원인 이종률은 4월 14일 『민족 일보』의 지면을 통하여 민족건양회의 명의로 ‘민족 통일 방안 대강(民族統一方案大綱)’을 발표했는데, 이는 남북 협상 통일론에 바탕을 둔 통일 방안을 제시한 의견서였다.
[의의와 평가]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 통일방안심의위원회는 민간단체가 주관하여 통일 문제에 대한 진보적 지식인의 주도 하에 통일 문제에 대한 여론을 수렴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이는 한국 현대사에서 최초의 일이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